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관련 민원의 주요 토픽 분석
이용수 25
- 영문명
- Using Text Mining to Analyze Key Topics in Civil Petitions Related to Hazardous Chemical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강현 홍정열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4호, 53~6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해화학물질의 취급 및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고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고예방 연구 및관련 정책이 수립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고예방 정책들은 수요자의 직접적인 니즈를 고려하기 보다는 정부차원에서제시되는 법⋅제도 개선에 주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신문고 상에 게시된 유해화학물질 관련 민원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수행하였고, 유해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한 질문 및 답변에서 유의미한 토픽 및 키워드를 추출하여 정책에 우선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토픽모델링 기법인 잠재의미분석과 잠재디리클레할당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각 알고리즘의 결과 및 시사점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잠재디리클레할당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주요 토픽은 ‘배관 및 밸브 관리 및 검사’, ‘보관⋅설비 감지’, ‘장외영향평가’, ‘피해저감 및 사고예방시설’, ‘교육및 관련 법’이었으며, 잠재의미분석 알고리즘으로부터 도출된 결과보다 각 토픽에 속한 단어들 간의 연관성이 더 높게 나타나토픽을 보다 명확하게 분류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향후 유해화학물질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정책 및 현장에 직접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사고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Various accident prevention studies and related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to ensure public safety when handling and transport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owever, these policies primarily focus on improving government-level laws and policies, often overlooking the immediate needs of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extraction of meaningful topics and keywords from questions and answers pertaining to the safe handling of harmful chemicals using civil petitions data related to these substances, as posted on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platform. The idea is to prioritize these topics in policy formulation. In addition, topic modeling techniques, namely Latent Semantic Analysi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lgorithms, were employed, an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each algorithm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main topics identified through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lgorithm were “piping and valve management and inspection,” “manufacturing and storage facility safety,” “outdoor impact assessment,” “damage reduction and accident prevention facility,” and “education and related law.”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by directly addressing the requirements of consumers when it comes to harmful chemical substances.
목차
1. 서론
2. 방법론
3. 분석결과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AV 영상정보를 활용한 유역전체기반 조기경보시스템의 위험단면 산정
- 저층수 배수를 위한 가동보의 안전성 평가
- 연속호우 기반 댐 붕괴모의에 관한 연구
- 한랭지역 기후조건에서 철도교량기초 거동 및 단열재 적용성 평가
- 토석류 사례 분석을 통한 구조물 취약곡선 개발
- 경사 지반에서 액상화에 따른 지반-말뚝 동적상호작용
- 철도교량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PointNet++기반 레일 자동 탐지 기술 연구
- 경화 지연제 혼입 콘크리트의 부착전단강도 및 부식내구성 평가
- 힌지식 펌프 일체형 수문 고정장치의 안전성 평가
- 자동화재탐지설비 보호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실효성 검증시험
-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돌효과가 지하주차장 부속실제연설비의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소방 현장기반의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
- 대전지역 의용소방대원의 업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구획 내 플래시오버 발생 한계 열방출률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발화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물 개구부의 연소특성과 성능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 개구부의 크기에 따른 외부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사용자 측면에서 코로나19 재난문자에 관한 기대요인과 만족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관련 민원의 주요 토픽 분석
- 유출곡선지수(CN)를 이용한 침투시설 간편 설계법 개발
-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폭염 취약 지역과 사회⋅취약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 분석
- 가뭄 예보의 적극성율 지수 개발 및 2021-2023 가뭄 적극성 분석
- 재난회복력을 바탕으로 한 도로 복구 우선순위 지수 개발
- 탄소나노튜브 혼입 고강도 경량 시멘트 복합체의 휨강도 평가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3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