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외 탄소중립 캠퍼스 사례 분석

이용수 23

영문명
Analysis of International Carbon-Neutrality Campus Cases: A Case Study on Comprehensiv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발행기관
적정기술학회
저자명
조혜원(Hyewon Cho) 하지훈(Jihun Ha) 김현지(Hyunji Kim) 정민영(Minyoung Jung) 윤제용(Jeyong Yoon)
간행물 정보
『적정기술학회지』Vol.10 No.1, 56~72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미국 종합대학(하버드, MIT, 스탠포드, UC 버클리)의 탄소중립 캠퍼스 조성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탄소중립 캠퍼스 논의 확산과 추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대학의 탄소배출 현황, 탄소중립 캠퍼스 목표와 전략, 배출량 집계 현황, 추진 경과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대학에서 탄소중립 캠퍼스를 조성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보고 국내 대학에서의 도입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대학들이 혁신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었던 이유는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이하 ‘PPA’)’ 제도를 활용하였기 때문이며, 동시에 탄소중립 캠퍼스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협력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이었다. 이 과정에서 PPA투자금은 주 정부 단위의 지원금, 학교 발전기금, 펀드 조성 등으로 충당하였으며, 각 대학 별로 지속가능성 부서를 설치하고 대내외 구성원과 함께 탄소중립 계획을 수립하는 등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각 대학의 지속가능성 부서는 탄소를 감축하는 목표 이외에도 물 사용량, 건강, 문화, 식품,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나아가 건물, 전환, 수송, 폐기물 등 직·간접 배출량(Scope 1, 2)에 대한 모니터링에 그치지 않고 외부 배출량(Scope 3)에 대한 관리와 감축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국내 대학에서도 건물에서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축하기 위한 PPA와 같은 제도가 활발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 에너지를 구매하고, 계약하는 것에 관한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일부 대학에 이미 ESG 위원회나 지속가능성 위원회 등이 존재하고 있으나 역할과 권한, 구성원 참여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탄소중립 캠퍼스 조성과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하여 관련 거버넌스체계를 보다 체계적이고 협력적으로 구축하여야 하며, 나아가 인재양성과 인식 개선을 위한 기후환경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pread and promotion of discussions on carbon-neutral campuses by examining cases of carbon-neutral campus development in major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Harvard, MIT, Stanford, UC Berkeley). To achieve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arbon emissions status, carbon-neutral campus goals and strategies, emission quantification status, and progress of each university. The background for achieving carbon-neutral campuses at each university was explored, and the possibility of adop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as investigated. The universities effectively reduced greenhouse gases using PPAs and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s to create carbon-neutral campuses. PPAs were funded via government grants, university endowments, and fund creation. Sustainability departments were established, engaging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in carbon-neutral planning. In particular, the sustainability offices of each university demonstrate leadership both in reducing carbon and improving overall quality of life by setting goals related to reducing water consumption, promoting health, culture, food, and connecting with local communities. Korean universities face challenges in reducing building emissions, with limited use of mechanisms like PPAs. Thus, Policy backing is vital for procuring renewable energy. Additionally, although some domestic universities have ESG committees or sustainability committees, there are limitations in their roles, authority, and member participation. Thus, for the creation of carbon-neutral campuses and transition to sustainable society,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relevant governance structures and systemic climate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collaboratively for institution value and talent development.

목차

서론
연구 방법 및 대상
종합 비교 및 검토
결론 및 시사점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원(Hyewon Cho),하지훈(Jihun Ha),김현지(Hyunji Kim),정민영(Minyoung Jung),윤제용(Jeyong Yoon). (2024).해외 탄소중립 캠퍼스 사례 분석. 적정기술학회지, 10 (1), 56-72

MLA

조혜원(Hyewon Cho),하지훈(Jihun Ha),김현지(Hyunji Kim),정민영(Minyoung Jung),윤제용(Jeyong Yoon). "해외 탄소중립 캠퍼스 사례 분석." 적정기술학회지, 10.1(2024): 56-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