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50 탄소중립전환과 2030 NDC를 준비하는 서울대학교 에너지 사용·온실가스 배출 특성 이해

이용수 3

영문명
Seoul National University's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Characteristics in Preparation for the 2050 Carbon Neutrality Transition and the 2030 NDC
발행기관
적정기술학회
저자명
윤선영(Seonyoung Yun) 김동영(Dongyoung Kim) 여명석(Myoungsouk Yeo) 정혜진(Hyejin Jung) 윤제용(Jeyong Yoon)
간행물 정보
『적정기술학회지』Vol.10 No.1, 20~3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발생 특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캠퍼스 에너지·온실가스 수지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서울대학교 캠퍼스가 2030 건물분야 NDC 목표와 2050 탄소중립 캠퍼스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과 특성들을 살펴본다. 캠퍼스 에너지·온실가스 수지 모델은 전국 대학의 탄소중립 캠퍼스 전환을 위한 준비 과정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발생 특성을 살펴보면, 2021년 기준 서울대학교에서 배출한 온실가스는 14.1만tCO2eq.이고 전기와 가스의 사용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 비율은 대략 8:2 정도이다. 서울대학교 총 에너지 사용량은 809 GWh(69,600TOE)이며 전환손실을 고려한 전기에너지 사용량은 659 GWh이다. 서울대학교 캠퍼스 내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에너지양은 전기에너지 247 GWh와 가스 및 유류 사용 에너지 151 GWh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주로 이공계 연구실에서 비롯되며, 전체 에너지 소모의 46%를 차지한다. 이는 이공계 연구실 에너지 사용 특성의 이해에 기반한 온실가스 절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대학교가 2030 NDC 건물분야 목표만큼의 온실가스 감축과 2050 캠퍼스 탄소중립을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 서울대학교 자체의 에너지 효율화와 전체 에너지 증가량을 잘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서울대학교에서 사용하는 전기에너지를 탈탄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were presented, and Energy·Greenhouse Gas Balance Model of University Campus was proposed based on this analysis. Additionally, the conditions and features required to achieve SNU's 2030 National Determined Contribution (NDC) goals in the building sector and aim for a carbon-neutral campus by 2050 were examined. The Energy·Greenhouse Gas Balance Model of University Campus is expected to be beneficial for preparing nationwide universities for the transition to carbon-neutral campuses. As of 2021, SNU emitted approximately 141 kilotons of CO2eq., with a greenhouse gas emission ratio of around 8:2 for electricity and gas usage.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at SNU was 809 GWh (69,600 TOE), considering conversion losses, and the electricity usage was 659 GWh. The actual energy consumption on the SNU campus included 247 GWh of electricity and 151 GWh of gas and petroleum usage. Energy consumption in SNU, particularly in engineering and science research facilities, accounted for 46% of the overall energy consump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energy usage characteristics of these facilities. To achieve SNU's goals of reaching the 2030 NDC building sector targets and a carbon-neutral campus by 2050, it is crucial not only to enhance overall energy efficiency and manage total energy consumption but also to decarbonize the electricity used at SNU.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 and Discussion
Conclusion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선영(Seonyoung Yun),김동영(Dongyoung Kim),여명석(Myoungsouk Yeo),정혜진(Hyejin Jung),윤제용(Jeyong Yoon). (2024).2050 탄소중립전환과 2030 NDC를 준비하는 서울대학교 에너지 사용·온실가스 배출 특성 이해. 적정기술학회지, 10 (1), 20-31

MLA

윤선영(Seonyoung Yun),김동영(Dongyoung Kim),여명석(Myoungsouk Yeo),정혜진(Hyejin Jung),윤제용(Jeyong Yoon). "2050 탄소중립전환과 2030 NDC를 준비하는 서울대학교 에너지 사용·온실가스 배출 특성 이해." 적정기술학회지, 10.1(2024): 20-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