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출곡선지수(CN)를 이용한 침투시설 간편 설계법 개발
이용수 21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Simple Design Method for an Infiltration Facility using Curve Number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소현 전환돈 이동엽 황수덕 박종표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4호, 43~5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어 자연재해의 규모 및 강도가 커지고 있으며 특히 국지적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다.도시유역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아 집중호우 발생 시 상대적으로 침수발생가능성이 높으며 인구 및 물적자원이 집중되어 있어 대규모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홍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하천개수, 하수도정비, 우수저류지 설치 등의 방법을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저영향개발 기법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시설은소규모로 여러 위치에 설치하며 강우유출 분석을 위한 매개변수가 많으므로 설계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LID시설의 설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LID시설 규모에 따른 우수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각 시설능력에 상응하는 유역의 유출곡선지수(Curve Number)를 추정하여 시설면적비와 유출곡선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LID시설 설치 전 유역의 유출곡선지수와 시설이 전체 유역에서 차지하는 면적비를 통해 LID시설을 설치한것과 동일한 우수유출 저감효과를 가지는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할 수 있는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LID시설을 SWMM에직접 입력하지 않고 재산정한 유출곡선지수를 이용해 모델을 구축 및 분석하는 LID시설의 간편 설계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climate change accelerates, the scale and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are increasing, and the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s is increasing rapidly. Urban watersheds have a high ratio of impervious areas.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flooding in the event of torrential rain, and large-scale damage can occur because the population and material resources are highly concentrated. River improvements, sewerage maintenance, and rainwater storage installations are frequently used to reduce flood damage. More recently, low-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however, LID facilities are installed on a small scale and in various locations. In addition, they require many parameters for a rainfall-runoff analysis; consequently, the design of these facilities require too much manpower and tim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ainfall-runoff reduction effect based on the size of a facility to present a simpler, more efficient design method. Next, the curve number (CN) corresponding to the capacity of each facility is estim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ility’s area ratio and the CN is analyzed. As a result, a relational expression that can calculate the new CN with the same rainfall-runoff reduction effect as the installed LID facility was derived by using the CN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LID facility and the facility area ratio. Thus, we present a simple design method using the recalculated CN without directly entering LID facilities into 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AV 영상정보를 활용한 유역전체기반 조기경보시스템의 위험단면 산정
- 저층수 배수를 위한 가동보의 안전성 평가
- 연속호우 기반 댐 붕괴모의에 관한 연구
- 한랭지역 기후조건에서 철도교량기초 거동 및 단열재 적용성 평가
- 토석류 사례 분석을 통한 구조물 취약곡선 개발
- 경사 지반에서 액상화에 따른 지반-말뚝 동적상호작용
- 철도교량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PointNet++기반 레일 자동 탐지 기술 연구
- 경화 지연제 혼입 콘크리트의 부착전단강도 및 부식내구성 평가
- 힌지식 펌프 일체형 수문 고정장치의 안전성 평가
- 자동화재탐지설비 보호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실효성 검증시험
-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돌효과가 지하주차장 부속실제연설비의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소방 현장기반의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
- 대전지역 의용소방대원의 업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구획 내 플래시오버 발생 한계 열방출률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발화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물 개구부의 연소특성과 성능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 개구부의 크기에 따른 외부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사용자 측면에서 코로나19 재난문자에 관한 기대요인과 만족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관련 민원의 주요 토픽 분석
- 유출곡선지수(CN)를 이용한 침투시설 간편 설계법 개발
-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폭염 취약 지역과 사회⋅취약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 분석
- 가뭄 예보의 적극성율 지수 개발 및 2021-2023 가뭄 적극성 분석
- 재난회복력을 바탕으로 한 도로 복구 우선순위 지수 개발
- 탄소나노튜브 혼입 고강도 경량 시멘트 복합체의 휨강도 평가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3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