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Bond Shear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of Concrete with Setting Retarder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손진수 이진영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4호, 157~16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화지연제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부착전단강도 및 부식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경화지연제 혼입 콘크리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경사전단시험, 직접전단시험, 가속화부식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의 변수로는 경화지연제 혼입율(0, 1%), 콘크리트 타설면 처리방법(무처리, 치핑, 브러싱), 상층부 콘크리트 지연 타설 시간(8, 16, 24 h)이 고려되었으며 가속화 부식 시험의 경우 콘크리트 피복 두께 변수(20, 30, 45 mm)가 추가로 고려되었다. 시험의 결과로 경화지연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부착전단강도가 일반 콘크리트 시험체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지연 타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전단강도가 감소하는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경화지연제의 혼입을 통해 철근콘크리트의 부식내구성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경화지연제의 혼입이 지연 타설로인해 발생할 수 있는 타설 경계면의 부착강도와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bond shear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of concrete with setting retarders were evaluated. For this, slant shear, bi-surface, and accelerated corrosion tests were conducted. The variables considered included the proportion of the setting retarder (0 and 1%), surface treatments of concrete (as-cast, chipping, and brushing), curing hours (8, 16, and 24 h), and concrete cover depths (20, 30, and 45 mm). Consequently, the bond shear strength of concrete with the retarder showe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normal concrete. Moreover, an increase in curing hours resulted in a higher value of the bond shear strength. Furthermore, the addition of a retarder in concrete increased corrosion resistance.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addition of a setting retarder is believed to be a suitable solution to address the bond shear strength and durability issues that may arise at the interface of delayed concrete placement.
목차
1. 서론
2. 재료 특성 및 시험 방법
3. 시험 결과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AV 영상정보를 활용한 유역전체기반 조기경보시스템의 위험단면 산정
- 저층수 배수를 위한 가동보의 안전성 평가
- 연속호우 기반 댐 붕괴모의에 관한 연구
- 한랭지역 기후조건에서 철도교량기초 거동 및 단열재 적용성 평가
- 토석류 사례 분석을 통한 구조물 취약곡선 개발
- 경사 지반에서 액상화에 따른 지반-말뚝 동적상호작용
- 철도교량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PointNet++기반 레일 자동 탐지 기술 연구
- 경화 지연제 혼입 콘크리트의 부착전단강도 및 부식내구성 평가
- 힌지식 펌프 일체형 수문 고정장치의 안전성 평가
- 자동화재탐지설비 보호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실효성 검증시험
-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돌효과가 지하주차장 부속실제연설비의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소방 현장기반의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
- 대전지역 의용소방대원의 업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구획 내 플래시오버 발생 한계 열방출률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발화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물 개구부의 연소특성과 성능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 개구부의 크기에 따른 외부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사용자 측면에서 코로나19 재난문자에 관한 기대요인과 만족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관련 민원의 주요 토픽 분석
- 유출곡선지수(CN)를 이용한 침투시설 간편 설계법 개발
-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폭염 취약 지역과 사회⋅취약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 분석
- 가뭄 예보의 적극성율 지수 개발 및 2021-2023 가뭄 적극성 분석
- 재난회복력을 바탕으로 한 도로 복구 우선순위 지수 개발
- 탄소나노튜브 혼입 고강도 경량 시멘트 복합체의 휨강도 평가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3권4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