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명텍스트 분석 정보를 활용한 중급 단계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이용수 5
- 영문명
- Instructional Model for Intermediate-Level Korean Writing Education Using Explanatory Text Analyses: A Process-Genre Approach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양태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4권 1호, 177~20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odel for teaching Korean writing skills by applying a process-genre approach for learners of intermediate-level Korean. For Korean learners to write in Korean, they need to have knowledge of the particular subject matter, and possess contextual knowledge of the genre, as well as possess knowledge of the language and the ability to carry out the writing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genre-centric-based writing by taking account of the structures that appear in texts, of the deployment methods, and of the various features inherent in discourse markers. Yang’s 2010 study proposed how to teach writing descriptive text by offering an analysis of various descriptive tex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mount of information found in the 2010 study, and it aims to provide a teaching model for writing by combining the learning process and genres for writ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classroom teaching process: ‘pre-writing,’ ‘writing,’ and ‘post-writing.’ The lesson process is comprised of: 'genre information learning → writing preparatory activities → joint negotiation → independent construction → rewriting(editing).’This study has strengthened the importance of the reading process in the genre-content learning phase for more effective learning. Then it proposes setting up a writing plan by organizing one’s thoughts. Depending on the writing plan, individuals could create a piece together with their instructor or with other fellow students. Following these stepes could help learners acquire writing skills. The final step would require feedback and undergoing the editing process.(Sangmyung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앞선 연구
3. 설명텍스트 쓰기 교육 내용과 원리
4. 설명텍스트 쓰기 교수-학습 모형 예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LA에서 과제기반 연구의 최근 동향
- 탄뎀 학습(Tandem learning)을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 연구
- 재미 동포 미취학 아동의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발달 연구
- 설명텍스트 분석 정보를 활용한 중급 단계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제와 개선 방안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보고표지 종결어미 ‘-래’, ‘-재’, ‘-냬’에 대한 문법 설명
- 현대 베트남어의 ‘anh, chị, em’ 호칭과 한국어의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ㄹ’ 관련 음운변동 교육내용 분류와 초성 ‘ㄹ’ 관련 변동규칙 교수·학습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