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縞紵集』의 編纂者 朴長馣의 생애와 그 편찬 의식

이용수 9

영문명
A Sstudy on the Life of Park, Jang Amand His Consciousness of Writing Hojeojip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강진선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75輯, 113~158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小蕤 朴長馣(1790~1852?)은 朴齊家(1750~1805)의 삼남으로 박제가의 4차례에 걸친 燕行에서의 한중 교유 성과를 집성한 『縞紵集』의 편찬자이다. 이 논문에서는 박장암의 생애와 관력 등 기본 정보를 정리하고, 박장암의 교유 관련 자료 중 『호저집』 편찬과 관련된 경우를 살펴봄으로써 『호저집』 편찬의 의도와 지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하였다. 유본학과의 교유 자료를 통해서는 박장암이 아버지 박제가에 대해 가졌던 숭모와 자부심을 간접적으로 읽을 수 있었고, 이는 『호저집』에서 박제가가 정조의 지우를 입었음을 밝혀 박제가의 명예를 회복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난다. 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청 문인 이정원과 神交를 맺고 그 교유의 내용을 『호저집』에 실어, 부친 대의 국제 교류를 직접 계승하려는 의지 또한 보이고 있다. 더불어 신위와의 교유를 통해서는 『호저집』의 초고를 작성한 이후 장년의 나이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수정과 자료 추가를 하였던 정황을 살펴볼 수 있어, 18~19세기 한중 문예 교류사에서 박제가의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내고자 한 박장암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실제 『호저집』의 편찬에서는 첫머리에 박제가와 곽집환의 교유 자료를 배치하고, 더불어 박제가와 청 문인의 교유 자료 뿐 아니라 박제가의 벗 혹은 제자로 지칭되는 후발 연행 사절의 인물들이 중국 문인에게 받은 시문을 『호저집』의 지면에 싣고 있다. 이는 『호저집』을 통해 과거 조청 문인교류의 盛事를 아버지 박제가를 위시한 순서와 의미로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박제가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한 박장암의 편찬 지향을 드러내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호저집』은 조청 문예 교류의 장에서 박제가가 이룬 업적을 선양하고, 19세기 한중 문단에 그 가문과 나아가 스스로의 존재감 또한 적극 표명하고자 하였던 박장암의 의식이 드러난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write the chronology of Park, Jang Am(1790~1852?) at a brief level, and to examine why he compiled Hojeojip, a kind of directory of people, and his intention. Park, Jang Am was born as his father's third son, Park, Je ga(1750~1805), an intellectual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o was active in th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Hojeojip, which Park, Jang Am wrote, consists of a list of Chinese intellectuals that his father met during his four trips to the Qing Empire Under the Qianlong Emperor's reign along with envoys dispatched for public duties. Yu, Bon Hak, Shin, Wi, and Li, Ding Yuan were the intellectuals of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or of the Qing Empire abroad, who were close to Park, Jang Am. By examining the traces of his friendship with these three people, it is possible to know that Park, Jang Am was influenced or helped by them in the way he respected his father or in the work of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Hojeojip. Hojeojip is a literature way for Park, Jang Am to respect his father, and more specifically, it was written to prove the existence of his father, Park, Je Ga, in the history of exchange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Empires in th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Several points can be presented as evidence for that. The first point is that he placed the materials of his father and Gwak, Jip Hwan's friendship at the beginning of Hojeojip. The second point is that the pages of Hojeojip include not only the articles related to his father but also those related to people who can be referred to as Park Je Ga's friends or disciples. In conclusion, Park, Jang Am revealed the purpose of praising his father's achievements in the literary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Empire through Hojeojip. In other words, this is nothing other than the purpose of trying to prove not only the name of the family in the 19th-century literary world but also its presence.

목차

1. 서 론
2. 朴長馣의 생애와 관력
3. 『호저집』 편찬의 지향과 반영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선. (2023).『縞紵集』의 編纂者 朴長馣의 생애와 그 편찬 의식. 대동한문학, (), 113-158

MLA

강진선. "『縞紵集』의 編纂者 朴長馣의 생애와 그 편찬 의식." 대동한문학, (2023): 113-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