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교과통합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역기능적 진로 사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03

영문명
The Effects of Korean Subjects Integr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글로벌지식융합학회
저자명
김주연 김수리
간행물 정보
『지식융합연구』제6권 제1호, 113~13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생들이 국어수업 내용과 자신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진로 교육을 융합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국어교과 성취기준과 진로연계 학습 요소를 융합하여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셋째, 서울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127명 중 63명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8차시 적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 도구는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F)를 이은경(2001)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화 작업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척도는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 등 4개 하위요인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이은경, 2001). 진로사고 검사(Career Thought Inventory: CTI) 도구는 Sampson 등(1996)이 개발하고 장선철(2003)이 요인분석하여 타당화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진로와 관련된 역기능적 진로 사고를 측정하는 것으로 진로 결정 과정에 관한 일반화된 의사결정 혼란, 수행불안, 왜곡된 정체감 등 3개 하위요인의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하였고, 이후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 사전 평균점수는 84.35점, 사후 평균점수는 98.90점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644, p<.001). 또한 실험집단의 진로사고검사의 전체 사전 평균점수는 54.21점, 사후 평균점수는 46.84점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역기능적 진로 사고의 수준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430, p<.01). 이와 같이 실험집단에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가 향상되고, 역기능적 진로 사고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학생들이 진로탐색을 하는 데 있어 방해요소가 되는 역기능적 진로 사고를 감소시켰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t affects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thinking by devis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Korean language subjects and integrating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career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develop their dreams. there i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integrated with Korean subjects was examined for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econd,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subjects was conceived by converging Korean language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and career-related learning elements. Third, the Korean language integr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8th class for an experimental group of 63 out of 127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s a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st tool,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F developed by Taylor and Betz (1983) was validated by Lee Eunkyung(2001)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d The self-efficacy scale for career decision-making consists of a total of 25 questions of 4 sub-factors: goal selection, job information, problem solving, and future planning (Lee Eunkyung 2001:49). The Career Thought Inventory (CTI) tool developed by Sampson et al. (1996) and validated by factor analysis by Jang Seon-Cheol(2003) was used. This questionnaire measures career-relate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and consists of a total of 26 questions in three sub-factors: generalized decision-making confusion, performance anxiety, and distorted identity regard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for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25.0, followed by a paired samples t-tes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pre-average score fo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84.35 points, and the post-average average score was 98.90 points. (t=-7.644, p<.001). In addition, the overall mean score of the career thinking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54.21 points, and the mean post-test score was 46.84 points. (t=3.430, p<.01).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improved an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before the implement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as improved through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subjects. Second, it reduced the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that interferes with students’ career explor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연,김수리. (2023).국어교과통합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역기능적 진로 사고에 미치는 효과. 지식융합연구, 6 (1), 113-138

MLA

김주연,김수리. "국어교과통합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역기능적 진로 사고에 미치는 효과." 지식융합연구, 6.1(2023): 113-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