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魏志倭人傳과 古代日本資料에서의 表記字에 관한 小考

이용수 17

영문명
A Study on the notation of Gishiwajinden and Ancient Japanese: From the Perspective of Notation Centered on 蘇 and 奴
발행기관
글로벌지식융합학회
저자명
김영화
간행물 정보
『지식융합연구』제6권 제1호, 139~16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고대 한국 및 일본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왜인전의 음운을 보다 확실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왜인전에 보이는 음차표기자 가운데 고대 일본 자료와 그 음가가 다른 蘇와 奴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왜인전에 보이는 蘇와 奴의 음가를 추정된 상고음, 운서류에서의 반절, 선학자들에 의한 음가, 고대 한국 및 일본 자료에서의 용례를 통해 그 음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론은 왜인전에 보이는 蘇와 奴는 [sa]와 [na]의 음절을 나타내는 표기자임을 알 수 있었다. 왜인전에서 蘇는 [さ]의 음절을 나타내는 표기자로, 모두 国名으로 쓰였다. 고대 일본 자료에서 蘇는 [ソ]의 음가를 나타내고 있다. 蘇에 대해 고찰한 결과, 첫째, 상고음의 음가는 학자별로 [sa] 및 [so]로 추정하였으며 운서의 반절를 통해 추정한 음가는 [so]이나 운서의 집성 시기가 중고음 시기인 점은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는 점이다. 둘째, 고구려 및 백제의 지명, 인명 표기를 통해 蘇:斯:史:泗:所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여 이를 [sa]로 읽고 있는 점이다. 이를 통해 蘇를 [sa]의 음가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奴는 왜인전에서 16용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모두 관명·국명 등 고유명사를 표기하고 있다. 그 가운데, 1용례만이 [ぬ]의 음가를, 나머지 15용례는 [な]의 음가를 나타내고 있다. 고대 일본 자료에서는 [ヌnu, ノno, ドdo]의 음가를 나타내고 있다. 고찰한 결과, 첫째, 奴의 상고음은 [nu]와 [na]로 선학자들에 의해 추정음은 둘로 나뉘져 있으며, 운서의 반절 및 오노의 지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음가는 [no]이나, 운서의 집성 시기가 중고음 시기인 점은 蘇와 마찬가지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둘째, 삼국사기의 지명 표기 및 고구려의 5부족에 대한 표기를 통해 奴=那=弩=內=儒, 奴=那의 대응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 등을 통해 奴의 음가는 [na]로 읽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본서기의 인명 표기에서 奴가 [na]의 음가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한 얻어진 결과치에 대한 활용 방안은 고대 일본 자료에 보이는 음가가 오음, 한음과는 다른 음가(고한음)일 경우, 고대 한국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본고에서 다룬 왜인전에 보이는 蘇·奴의 용례를 통해 얻은 음가와 상고음 및 고대 일본 자료에서의 음가가 다르게 나타내고 있는 점에 대해, 고대 한국의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용례로 그 해답을 얻었다하여 왜인전의 음역자(音譯者)가 한반도인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이는 왜인전뿐 아니라 동이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음차표기자 전체를 살펴본 후 결론을 내려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는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삼아 그 연장선상에서 결론을 내리고 싶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phonology of Wajinden through comparison with ancient Korean and Japanese materia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蘇 and 奴, which have different phonetic values from ancient Japanese materials among the phonetic transcriptions shown in the Wajinden.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honetic values of 蘇 and 奴 shown in the Wajinden were examined through the estimated Old Chinese phonology, the Fanqie(反切) in a Rhyme Dictionary(韻書), the phonetic values by scholars, and the examples of ancient Korean and Japanese materials. As a conclusion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蘇 and 奴 shown in the Wajinden are the markers for the syllables of [sa] and [na]. In Wajinden, 蘇 is a notation for the syllable of [sa さ], and all of them were used as national names. In ancient Japanese sources, 蘇 represents the sound of [so ソ]. As a result of the study of 蘇, first, the phonetic value of the estimated Old Chinese phonology was divided into [sa] and [so], and the phonetic value estimated through the Fanqie(反切) in a Rhyme Dictionary(韻書) was [so]. However, since the sound values shown in a Rhyme Dictionary(韻書) is in Middle-Old Chinese phonology, the authenticity is questionable. second, through the place names and names of people in Goguryeo and Baekj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蘇:斯:史:泗:所 is established, and it is read as [sa]. Considering these points, it can be said that 蘇 represents the sound value of [sa]. In addition, there are 16 examples of the use of 奴, which can be found in Wajinden, and all refer to proper nouns such as the name of an official position or the name of a country. Among them, only one usage shows the sound value of [nu ぬ], and the remaining 15 usage examples show the sound value of [na な]. In ancient Japanese sources, the sound values of [nuヌ, noノ, doド] are indicated.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first, as with 蘇, the estimated upper ancient sound of 奴 is divided into [nu] and [na], and the phonetic value estimated through the Fanqie(反切) in a Rhyme Dictionary(韻書) and Ōno's indication was [no], but the time of compilation of a Rhyme Dictionary(韻書) is Middle-Old Chinese phonology. seco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奴=那=弩=內=儒 and 奴=那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geographical names and five tribes in the SamgukSagi. third, it was confirmed that 奴 represents the sound value of [na] in the name notation of Nihonsyoki. Through this fact, the sound value of 奴 can be read as [na].

목차

1. 머리말
2. 表記字에 대한 考察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화. (2023).魏志倭人傳과 古代日本資料에서의 表記字에 관한 小考. 지식융합연구, 6 (1), 139-164

MLA

김영화. "魏志倭人傳과 古代日本資料에서의 表記字에 관한 小考." 지식융합연구, 6.1(2023): 139-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