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의 「竇娥冤」, 「金鎖記」와 한국의 「정효부전」 서사 비교 연구

이용수 32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ories of China’s 「Duawon」, 「Geumswaegi」, and Korea’s 「Jeonghyobujeon」: Focusing on the Epic Variations of 「Ugongg and Donghaehyobu」 History
발행기관
글로벌지식융합학회
저자명
조재현
간행물 정보
『지식융합연구』제6권 제1호, 53~8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于公과 東海孝婦」 고사를 수용한 한중 작품 「竇娥冤」, 「金鎖記」, 「정효부전」에 나타나는 서사 변주 양상과 주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漢書』, 『搜神記』에 수록된 「우공과 동해효부」 고사의 의미를 찾고, 「두아원」과 「금쇄기」는 두 가지 이야기를 모두 수용하였으나 「정효부전」에서는 명철한 관리를 상징하는 우공을 중요시하게 여기는 인식을 반영하여 『한서』에 수록된 고사만을 기반으로 하였음을 밝혔다. 주제적인 측면을 살펴보았을 때, 「두아원」은 부조리한 현실로 인해 억울한 죽음을 당한 여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면, 「금쇄기」는 천상계와 수궁계를 개입시켜 현실계의 갈등을 약화시키는 대신, 여성의 효열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정효부전」에서는 효열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 정씨부인이 「금쇄기」보다도 더욱 다양한 환상계를 여행하며 보상으로 남편과 함께 현실계로 귀환할 뿐 아니라 가문을 부흥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우공과 동해효부」 고사에서부터 나타나는 ‘송사의 부당함과 여성의 원통함’이라는 주제는,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창작된 개별적인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효열의식을 강조하는 작품으로 변모하였다. 그 이면에는 왕조 말기의 혼란함을 유교적 가치의식의 강화로 극복해 보고자 하는 보수적 대응방식이 문학작품에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금쇄기」, 「정효부전」은 이러한 의식이 반영된 문학 개작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rratives and themes that appear in Korean-Chinese works 「Duawon」, 「Geumswaegi」, and 「Jeonghyojeon」, which accepted the history of 「Ugongg and donghaehyobu」. To this end, the meaning of 「Wukong and Donghae Hyobu」 in 『Hanso』 and 『Susingi』 was found, and 「Duawon」 and 「Geumswaegi」 accepted both stories, but 「Jeonghyobujeon」 was based only on the history contained in 『Hanso』. Looking at the theme aspect, 「Duawon」 critically represents the problem of women who were killed unfairly due to absurd reality, while 「Geumswaegi」 emphasizes women’s sense of filial piety instead of weakening real-world conflicts through the heavenly and the royal world. In 「Jeonghyojeon」, Mrs. Jeong, who sacrificed her life for ‘filial piety-fidelity’, travels to a more diverse fantasy world than 「Geumswaegi」, not only returning to reality with her husband as a reward, but also reviving the family. The theme of “unfairness of trial and women’s resentment” from the story of 「Ugongg and donghaehyobu」 has been transformed into a work that emphasizes women’s sense of filial piety despite being individual works created in different time and space. Behind it, it can be seen that the conservative response method to overcome the confusion at the end of the dynasty by strengthening the Confucian sense of value worked in literary works. 「Geumswaegi」 and 「Jeonghyojeon」 can find meaning in terms of showing the direction of literary adaptation reflecting this consciousness.

목차

1. 머리말
2. 「于公과 東海孝婦」 고사 수용 양상
3. 중국 고전 「竇娥冤」·「金鎖記」와 한국 고전 「정효부전」에 나타나는 서사양상과 의미 비교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현. (2023).중국의 「竇娥冤」, 「金鎖記」와 한국의 「정효부전」 서사 비교 연구. 지식융합연구, 6 (1), 53-83

MLA

조재현. "중국의 「竇娥冤」, 「金鎖記」와 한국의 「정효부전」 서사 비교 연구." 지식융합연구, 6.1(2023): 5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