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계 중국인 대학원생의 학문적 글쓰기 맥락 활성화 양상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ivation Aspect of Academic Writing Context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the Humanities: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유상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0권 3호, 105~14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academic writing is not only a cognitive behavior but also a social behavior. This paper focuses on the social aspect of academic discourse construction and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ctivating the context of academic discourse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ree Chinese graduate student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iences of graduate academic writing.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found that the textual context was activated most actively and implemented in the actual academic discours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academic writing task given by the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factors of the context of situ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master’s level.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or the individual’s study backgrou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dynamics of the context in the academic writing context activation education. In order to induce the motivation of the learner’s context activ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understand why we should use strategies of activating the academic writing context and how it function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한국어 학문적 글쓰기 맥락의 범주 및 하위 요소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