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쿠바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Korean Education in Cub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윤나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0권 4호, 193~2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in Cuba, to explore the issues therein and to consider the future pla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six Korean language classes in Cuba, focusing on lectures, contents, instructors, and learner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outlines a developmental task and discusses the future plan. Since 2012, when liberal reforms opened the country’s economy to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Cuba has emerged as a growing market for Korean drama and K-pop, and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re has surged. The increased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uba arose despite a lack of support from the Cuban government, a positive situation that nevertheless demands a lot of work to be done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uba, examines its issues, and suggests developments. As this subject has never been studied before, it will thus be very useful for further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uba.
목차
1. 서론
2. 쿠바의 한국어교육 현황
3. 쿠바 한국어교육의 과제 및 발전 방향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화교의 한중 문장내적 코드전환(intrasentential code switching) 양상과 특성
-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한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의 개념과 구성 요소 설정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부사 ‘꼭’ 교육 연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문법 활용 양상
- 영상매체 관련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전뇌 학습(Whole-Brain Learning)’을 위한 한국어 교재 과제(Task) 분석 연구
- ‘-지 않을 수 없다’의 의미 분석 및 교육 방안
-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 쿠바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학부 유학생 대상 전공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 전략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