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중신학과 민중 교회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이용수 11

영문명
Critical Reflection on Minjung Theology and Ecclesiology of Minjung Theology
발행기관
혜암신학연구소
저자명
정일웅
간행물 정보
『신학과교회』제18호, 395~42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이 글에서 먼저 “민중신학과 민중교회론”이 의도하며 시도한 신학으로서 가치가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그것은 지난 1970-80년대 한국의 정치 사회적으로 억압받는 가난한 민중의 구원(해방)에 관한 관심으로 그들의 구원과 교회를 위한 신학적인 학문을 제시한 것이었다. 필자는 성서에 근거한 전통적인 개신교 신학의 관점에서 민중신학과 민중 교회론을 비교했다. 여기서 여러 가지 차이점들을 확인하였다. 그것은 민중신학이 사용한 해석방법론에 관한 것이었다. 전통적인 개신교 신학이 성경에 근거하여 기독론과 구원론과 교회론을 말한다면, 민중신학은 전통 개신교 신학이 사용해 온 방법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성서를 해석하고, 기독론과 구원론, 심지어 교회론을 해석하였다는 사실이다. 성서는 근본적으로 예수가 사회적인 소외계층인 민중에만 적용된 한정된 메시아가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사람을 위한 메시아(그리스도)이다. 그러나 민중신학과 민중 교회론은 예수를 고난받는 민중 사건의 예수로 이해하고, 민중의 구원은 민중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사회적인 지배계층과의 대립적인 투쟁 관계에서 획득해야 하는 자유(구원)로 해석한다. 민중신학은 결단코 예수를 인간 개개인의 하나님과의 종교적 관계에서 메시아로 보지 않는다는 점이다. 민중신학이 말하는 민중 교회론에서도 역시 전통적인 개신교 신학의 교회론과 현저한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그것은 교회 자체가 예수를 메시아(그리스도)로, 주님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하는 신앙인들의 모임(신앙공동체)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요, 몸이며, 성도들은 그 몸에 속한 지체의 관계에 있는 그리스도의 공동체로 이해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누구나(불신자라도) 정치 경제적으로 고난받는 민중의 정황에서 예수의 복음적 가치에 부합하는 행동과 태도를 보인다면, 그것이 그리스도 현존사건과 동일하게 판단하고, 교회는 이들의 모임으로 억압한 자들로부터 맺힌 민중의 한(恨)을 풀어주는 행위가 민중교회의 예배로 이해되었다. 결론적으로 민중신학은 역사적인 예수 이해에 근거하여 민중의 정치적 억압상황에서의 구원(해방)을 말하고, 그러한 구원의 경협과 인간적인 위로의 현장으로서 교회를 말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제삼의 신학과 제삼의 교회론의 새로운 학문적 신학의 제시로 자부하지만, 전통적인 신학과 교회론의 차이는 극복되어야 할 중요한 주제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민중신학과 민중 교회론이 지닌 시사점은 전통적인 개신교 신학에 의존된 한국교회가 많은 모순적인 문제들을 안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비판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민중신학은 전통적인 한국의 제도교회가 복음의 순수성을 잃고, 내세 신앙만을 부추기며, 현실적인 삶에서 정치세력에 타협하며, 고통받는 민중의 고난에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여온 문제를 신학적인 과제로 제기했다. 그리고 기존교회의 제도개혁과 순수한 복음적인 참교회의 모습으로 돌아가기를 촉구하는 내용 들에서 전통 한국교회와 지나친 보수신학은 많은 도전을 받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정통보수신학은 민중신학이 말하는 소외된 자들의 구원에 대한 신학적 사고를 개선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교회 제도 자체의 개혁을 실천해야 책임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민중신학과 민중 교회론의 제삼의 신학과 제삼의 교회를 추구하려는 신학운동은 정통 보수신학에 도전을 준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first looked at the value of “Minjung Theology and the Minjung Church Theology” as the intended and attempted theology. It was schematically confirmed that it was an interest in the salvation (liberation) of the poor people who were oppressed politically and socially in Korea in the 1970s and 1980s and presented a theological study for their salvation and the church. Of course, I came to compare Minjung theology with Minjung ecclesi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y based on the Bible. Here he identified several differences. It was about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used by Minjung theology. The fact that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y refers to Christology, soteriology, and ecclesiology based on the Bible, Minjung theology interprets the Bible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from the method used by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y and interprets Christology, soteriology, and even ecclesiology. to be. The Bible is fundamental that Jesus is the Messiah (Christ) for all people in the world, not the limited Messiah applied only to socially marginalized people. However, Minjung theology and Minjung ecclesiology understand Jesus as the Jesus of the suffering of the people, and the salvation of the people is interpreted as freedom (salvation) that the people themselves must acquire in a confrontational struggl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ruling class. Minjung theology never sees Jesus as the Messiah in each individual's religious relationship with God. Minjung ecclesiology is also markedly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y. The point is that Christ is the head and body of the church, and the members do not understand it as the community of Christ in the relationship of members belonging to the body. And if anyone (even a non-believer) shows actions and attitude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Gospel values of Jesus in the context of people suffering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t will be judged as the same as the Christ Presence event, and the church will be protected from the oppressed by these gatherings. The act of relieving the bitterness of the people was understood as the worship of the Minjung Church. In conclusion, Minjung theology speaks of salvation (liberation) from the political oppression of the people based 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Jesus, and the church as the site of such salvation economics and human comfort. Although we pride ourselves on presenting a new academic theology,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theology and ecclesiology is considered an important topic to be overcome. However, the implication of Minjung theology and Minjung church theory is that it points out and criticizes the fact that the Korean church, which relies on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y, has many contradictory problems. Above all, Minjung theology raises as a theological task the problem of traditional Korean institutional churches losing the purity of the gospel, promoting faith in the afterlife, compromising with political forces in real life, and showing indifference to the suffering of the suffering people. And I think that the traditional Korean church and excessively conservative theology will be challenged by the content that calls for institutional reform of the existing church and a return to the pure evangelical true church. In this regard, Korean orthodox conservative theology must not only improve the theological thinking on the salvation of the marginalized according to Minjung theology but also practice the reform of the church system itself to recognize its responsibility. I think that the theological movement to pursue theology and the Third Church is a big challenge.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문
Ⅲ.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일웅. (2022).민중신학과 민중 교회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신학과교회, (), 395-428

MLA

정일웅. "민중신학과 민중 교회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신학과교회, (2022): 395-4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