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수업을 위한 내용 중심 교수 방안
이용수 4
- 영문명
- Application of Content-Based Instruc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진제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6권 3호, 353~3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research foundation of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and three content-based teaching models (theme-based language instruction,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an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CBI is considered ideal for enhancing motivation, accessing cultural background, extending students’ awareness for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ng the whole person (Brinton et al. 1994, Snow & Brinton 1987, Eskey 1997, Stoller & Grabe 1997, Kasper 2000). CBI presents a completely different paradigm regar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While language is a medium for learning content, simultaneously language itself is the aim of learning content. In CBI, language usage (competence) and language use (performance) should be considered a unitary concept by teachers in the L2 class. The aforementioned benefits of CBI demonstrate that CBI is especially effective in teaching Korean to young Korean-Americans. In addition to their being more comfortable with CALP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than BICS (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due to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Korean-Americans are also eager to gain more Korean cultural or social knowledge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the grammatical point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is respect, this study utilizes the content-based instructional method of “into (approach to a text), through (interact with it), beyond (analytical response to it)” model proposed by Brinton et al. (1994). Finally, this study uses Korean literature to provide examples of the content-based method at each stage of the model of “into, through, and beyond.”
목차
1. 들어가기
2. 재미교포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및 한국어 학습자로서의 요구
3. 내용 중심 교수
4. 실제 교수 과정: “Into, Through, Beyond”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한국어 교육의 영역별 특징을 반영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 도깨비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한국어의 시제․상 형식의 교수 개선 방안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독일어화자들의 한국어 습득 시 나타나는 인지상의 전이와 간섭현상연구
- 한국어 수행평가와 공정성
- 연구 유형 분류를 통한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경향 분석
- The Use of the First Person Plural Possessive Pronoun Woorie in Korean Language
- 일본센터시험의 한국어시험 문항 구성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
-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에 대한 음조 교육의 효과
- 한국어 이해능력 평가의 원리 및 실제
- 고급 수준 학문-직업 연계 한국어교육
- 웹 기반 한국어 과정 개발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의 운영 현황 및 과제
- 한국어 수업을 위한 내용 중심 교수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