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이용수 17

영문명
New Grammatical Category and New Grammatical System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한송화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17권 3호, 357~37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learners are interested in the grammar with which they can make meaning and create a rich social life. They want to learn grammar as a communicative resource not as an abstract rule. The functional grammar puts together the patterns of the language and the things the learners can do with them. This is based on the important correspondences between structure and function. This article is based on functional grammar. I tried to categorize Korean grammar based on functional grammar. These categories express particular grammatical functions. The grammatical categories present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Identifying people and things, Modifying people and things, Presenting quantities and amounts, Describing things, Describing actions, Modifying actions, Expressing time, Forming negative statements, Diversifying messages, Using modals, Honoring hearers, Combining messages, Reporting someone’s statements, Making discourses and Making texts.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관련 논의
3.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에서의 문법 체계
4. 새로운 문법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기능(function)을 중심으로 한 문법 체계
5. 기능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문법 범주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송화. (2006).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한국어교육, 17 (3), 357-379

MLA

한송화.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한국어교육, 17.3(2006): 357-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