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이용수 3
- 영문명
-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Social and Cultural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ology Majo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해영 최수진 임명걸 왕청청 필신연 정란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7권 3호, 209~2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social and cultural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ology major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for Koreanology majors. We had found th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must precede all other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in all classes, and so we questioned Koreanology professors and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on tha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we decided to se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aterials as follows. In the aspects of form, first, due to the materials will be for the Koreanology major students, we are to write them in Korean language. Second, according to analyzing the needs of students, they require the lecture and discussion be together, and so we present the subject for discussion or meditation in the closing parts of the materials. Third, we will put special corner and internet web site in the material for them to be practical sources. On the other hand, in the aspects of contents, under the educational goal of training integrated men of ability well-grounded in Korean language, society and culture, we t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clusively. Finally,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proportion of tradition and the present day, simultaneously re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목차
1. 서론
2. 한국 문화 교육 논의
3. 교수 및 학습자 요구 분석
4. 교재 개발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ing Culture in the Advanced KFL Reading Class: Using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표현 형태 양상 조사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의 현황과 변천 과정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체감형 한국어교육콘텐츠 개발 및 구성
-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인터뷰 시험 담화에서 나타난 구어 문법적 오류 분석
- 담화 원리를 바탕으로 한 제안 기능 교육 내용 구성
- 신문 수업용 어휘 목록의 작성 방향
- “한국어능력시험”과 일본 “<한글>능력검정시험” 초급 문제에 대한 비교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 중국인 학습자언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종성에 대한 음향․청취 음성학적 오류분석
-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과 목적격 조사 대치 오류에 대한 비교언어학적 분석
- 귀국학생 및 외국인 아동을 위한 일본어 교육 현황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