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 Contrastive Rhetorical Study on the Texts Written by KFL-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진대연 김민애 이수미 홍은실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7권 3호, 325~35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contrastive rhetorical features based on analyzing texts written by KFL-learners and to suggest a model of L2 writing from the contrastive rhetorical perspective further. Written texts of 120 advanced learners classified into 5 groups (Japanese, Chinese, Western, Russian, and South-East Asian) have been analysed and described in several respects of rhetorical feature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contrastive rhetoric have been examined by summariz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Second, the categories for analyzing KFL-texts have been proposed and th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y the categories such as the positions of topic sentences, the methods of developing main ideas, supporting skills, and paragraphing etc.; Third, the contrastive rhetorical features of KFL-texts have been described after the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tell us that some texts show different rhetorical features among cultures or languag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show that there are, on the other hand, some universal features KFL-texts have in common. This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ng an eclectic model of L2 writing, which implies that there are certain inter-language writing steps for L2 learners.
목차
1. 서론
2. 대조 수사학의 개념 및 연구사
3. 한국어 학습자 텍스트의 대조 수사학적 분석
4. 한국어 학습자 텍스트의 대조 수사학적 특성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ing Culture in the Advanced KFL Reading Class: Using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표현 형태 양상 조사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의 현황과 변천 과정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체감형 한국어교육콘텐츠 개발 및 구성
-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인터뷰 시험 담화에서 나타난 구어 문법적 오류 분석
- 담화 원리를 바탕으로 한 제안 기능 교육 내용 구성
- 신문 수업용 어휘 목록의 작성 방향
- “한국어능력시험”과 일본 “<한글>능력검정시험” 초급 문제에 대한 비교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 중국인 학습자언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종성에 대한 음향․청취 음성학적 오류분석
-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과 목적격 조사 대치 오류에 대한 비교언어학적 분석
- 귀국학생 및 외국인 아동을 위한 일본어 교육 현황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