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기 담론과 고고 자료의 관계성 연구
이용수 1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sis Discourse and Archaeological Data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저자명
- 박경민
- 간행물 정보
- 『영남고고학』제96호, 151~1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위기는 물질적인 속성과 기호적인 속성을 모두 갖고 있으며 상대적인 속성도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정의하 기 쉽지 않다. 또한 과거의 위기를 규정할 때에는 현재의 위기에 대한 인식, 즉 시대적 가치관이 내재될 수 있다. 위기는 사회 구조주의자들의 주장처럼 내러티브와 담론을 통해 존재할 수 있지만 우리는 물질적 현상이 우리와의 상호작용에서 생성하는 위기의 관계적 문제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고학에서 위기는 고고 자료의 생멸과정으로 논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석기시대 종말기 문화는 토착 수렵·채집 민으로 청동기시대 (조)전기 문화유형은 농경민으로 인식되어 각 집단들의 위기와 대응 상황으로 그려질 수 있다. 이러한 해석경향은 실재적 위기를 찾고자 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위기는 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성된 관념적 현상으로 비 춰질 수도 있다. 탈과정주의 고고학적 입장에서는 우리가 위기를 규정하는 과정에서 객관적 판단의 기준이라고 생각했던 증거들이 과거 사회나 현재 사회의 어떤 모순들을 은폐하거나 합리화하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탈-이원론적이고, 반-인간중심주의적 사고에서는 위기라는 개념에 얽혀있는 다양한 관계들을 고민해야 한다. 현재의 사 고방식들이 과거의 물질을 바라보는 데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과거의 물질들이 어떻게 위기라는 개념을 이끌어내는지 와 같은 문제들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물질문화는 인간 사회의 무언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인간과 함께 세 계를 만들어 가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위기와 같은 언어들이 그것들을 둘러싼 인간 및 비-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 게 함께 되어가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영문 초록
Crisis has both material attribute and favorite attribute, and it is not easy to define universally because relative attributes can also be revealed. In addition, when defining a crisis in the past, perception of the current crisis, that is, periodical values can be inherent. Crisis can exist through the narrative and discourse as social structuralists argue, but it needs to consider additional relational problems of the crisis that material phenomena can create in interaction with us. Crisis in archaeology is also discussed as the process of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in archeological data. For example, the culture of the terminal period of Neolithic Age is indigenous hunter- gatherers, and the culture type of the early Bronze Age can be recognized as farmers, which can be depicted as a crisis and response situation for each group. Such interpretive tendency can be seen as an effort to find a real crisis. In contrast, the crisis may be viewed as a non-substantive crisis constructed by ideology. From a post-processual archaeological position, evidence considered as a criterion for objective judgment in process of defining a crisis can be a device to conceal or rationalize any contradictions in the past or present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a crisis is an ideological phenomenon that can be constructed by a specific value without substance. In post-dualistic and anti-anthropocentric thinking, various relationships involving the concept of crisis should be considered.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issues such as how the current concept of crisis plays a role in looking at past materials and how past materials elicit the concept of crisis. Material culture does not mean something in human society, but creates a world with humans in itself, so it needs to understand how languages such as crises we use become toget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surrounding them.
목차
Ⅰ. 서론
Ⅱ. 위기와 담론
Ⅲ. 고고 자료의 해석
Ⅳ. 존재론적 전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Analysis of Criminal Legal Risks and Respons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igital Age
- From “Legal Belief” to “Legal Trust” - Analysis of the Theory of Legal Belief and the Negation Theory of Legal Belief
- The Path to Identifying Copyright Attributes of Video Screensho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