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이용수 253
- 영문명
-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Resilience of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재 김장회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1권 제3호, 225~24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874/874373.jpg)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마음챙김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412명이 참여하였으며 그중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는 제외하고 총 400명의 자료를 SPSS 23.0과 AMOS 23.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이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회복탄력성에 대한 양육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중요성과 상담을 통한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고 부모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마음챙김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resilience, and mindfulness in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resilien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parents of adolescent children nationwide. A total of 412 people participated, and a total of 400 data poi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excluding data that responded insincerely to the questionnaire. First, parenting stress directly affects resilience. Second, mindfulness was analyzed as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arenting stress and mindfulness for resilience and th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through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that affect the resilience of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use of mindfulness that can be accessed in the field of parent counseling and education, its relevance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하위목표(Sub-goal) 제시와 자기모니터링(self-monitoring)이 학습동기 및 몰입, 학습효과에 미치는 효과
- 진로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불일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열린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효과 메타 분석
-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 탐색연구
-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가치명료화 이론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발문 적용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