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하위목표(Sub-goal) 제시와 자기모니터링(self-monitoring)이 학습동기 및 몰입, 학습효과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2
- 영문명
- Effects of Sub-goal Presentation and Self-monitoring on Learning Motivation, Immersion, and Learning Effects in Video-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CUI JINGHUAN 김동호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1권 제3호, 93~1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비대면 학습의 일상화와 함께 동영상 학습에 관한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하위목표와 자기모니터링 원리를 적용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개발하였고 효과를 살펴보았다. 설계된 동영상 콘텐츠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자의 동영상 몰입, 수업 흥미도, 수업 두려움, 자기효능감, 학습 이해도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실험 전과 후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 대학에 재학 중인 2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설계된 동영상 콘텐츠 학습을 통하여 동영상 몰입, 수업 흥미도, 자기효능감 요인에서 사전 검사 점수는 사후 검사 점수보다 향상되었고, 수업 두려움 점수는 줄어들었다. 둘째, 하위목표와 자기모니터링 원리를 활용한 동영상 콘텐츠는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 향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동영상 기반학습에서 동영상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opularity of video learning is rising quickly as non-face-to-face learning becomes more commonplace. So, using the concepts of subgoals and self-monitoring, this study created video content and evaluated the success of it. A self-report survey measuring the pre-scores and post-scores of learners' video engagement, class interest, class anxiety,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intended video material. The efficiency of the video content was examin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s t-test on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20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S. The findings revealed two main trends. First, the pretest scores for video engagement, class interest, and self-efficacy factors improved in comparison to the posttest scores, and the class anxiety score reduced because of learning the prepared video content.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using subgoals and self-monitoring concepts in video content improved learners' understanding of what they were learning. These conclusions lead to suggestions for video design in online video-base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하위목표(Sub-goal) 제시와 자기모니터링(self-monitoring)이 학습동기 및 몰입, 학습효과에 미치는 효과
- 진로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불일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열린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효과 메타 분석
-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 탐색연구
-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가치명료화 이론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발문 적용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