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 탐색연구
이용수 371
-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f Readines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장세진 김유리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1권 제3호, 7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식, 태도, 능력, 전망을 중심으로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경북의 K 보건대학교 재학생(1학년~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을 시행하였으며 131명이 응답하였다. 척도는 리커트척도 4점으로 설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의 준비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동의 여부는 46.62%가‘동의한다’, 52%가‘동의하지 않는다’로 나타났다. 둘째, 능력에 대한 준비도는 46.43%가‘동의한다’, 50.08%가‘동의하지 않는다’로 응답하였다. 인식과 능력에 대한 준비도에서 상반된 반응의 차이는 크지는 않지만 간호전공 대학생들은 준비도가 부족한 것으로 여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태도의 준비도에서는 78.5%가‘동의한다’, 20.02%가‘동의하지 않는다’로 응답하였다. 이는 인공지능을 활용하는데 있어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으며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준비도의 전망에서는 간호사를 전면 또는 일부를 사람 대신 인공지능으로 대체 될 것이라는 것에는 31.3%가‘동의한다’, 83.85%가‘동의하지 않는다’로 응답하였으며 이것을 통해 간호는 기계가 사람을 대신할 수 없을 것으로 대학생들이 전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d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by measuring the perceptions, attitudes, abilities, and prosp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1 students from freshmen~seniors at K University of Health in Gyeongbuk. A 4-point Likert scale was used,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3.0. The analysis results of readines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o utilize AI we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asked whether they agreed on their readiness in terms of perception, and 46.62% said they “agreed,” and 52% said they “did not agree”; second, while 46.43% said they “agreed” on their readiness in terms of abilities, 50.08% said they “did not agree.” Although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opposite reactions to readiness in terms of perceptions and abilities,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believed that their readiness was not enough; third, while 78.5% said they “agreed” on their readiness in terms of attitudes to utilize AI, 20.02% said they “did not agre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se nursing college students had high preference for the utilization of AI and had no sense of rejection to it; finally, 31.3% said they “agreed” on the prediction that human nurses would be replaced completely or partially with AI in terms of prospects to prepare for the utilization of AI.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83.85% said they “did not agree.” These findings show that they predicted that machines would not be able to replace people in the area of nursing.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하위목표(Sub-goal) 제시와 자기모니터링(self-monitoring)이 학습동기 및 몰입, 학습효과에 미치는 효과
- 진로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불일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열린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효과 메타 분석
-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 탐색연구
-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가치명료화 이론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발문 적용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