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용수 1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C Education Program’s Effects: Focusing on the case of A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권진희 한봉환 홍혜경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1권 제3호, 151~1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RC교육에 참여한 학생의 관점에서 RC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사례연구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C교육 프로그램은 대학1학년 학생들에게 '폭넓은 교우관계와 소속감', '자기이해와 성장동기', '공동체의식', '자신감과 도전정신'을 형성하며, 다양한 사고에 노출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방적 사고와 융합적 사고'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의미있게 생각하는 RC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적 요소로는 '융합학습’, '체험학습', '상호학습과 협력학습', '전환학습', '공유학습과 학습의 확장' 등으로 나타났다. 1학년 학생들은 RC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다양한 새 친구들을 만나고 함께 활동하면서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성장동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1학년 학생의 RC프로그램 참여가 학생의 학문적, 사회적 통합에 도움이 되는 후속활동으로 연결되어 장기적으로 긍정적 교육 효과를 낳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RC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RC education program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using the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C education program forms 'broad friendships and sense of belonging', 'self-discovery and motivation for growth', 'sense of community', and 'confidence and challenge spirit' of first yea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promotes open thinking by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multiple perspectiv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RC education programs are ‘convergence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shared learning and extended learning’ First-yea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C education program made new friends, formed trust while doing RC activities together, and forme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university and gained motivation for academic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RC program can lead to follow-up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which can have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in the long run.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C education programs and follow-up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RC교육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Ⅳ.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징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하위목표(Sub-goal) 제시와 자기모니터링(self-monitoring)이 학습동기 및 몰입, 학습효과에 미치는 효과
- 진로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불일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열린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효과 메타 분석
-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 탐색연구
-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가치명료화 이론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발문 적용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