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치명료화 이론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발문 적용 방안
이용수 110
- 영문명
- A Method for Applying Questioning Strategies for Self-reflection to Supplement Value Clarification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란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1권 제3호, 199~2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치명료화 이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사회관계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는 가치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자기성찰 발문을 가치명료화 이론의 가치화 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치명료화 이론은 학습자가 자유롭게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학습자 개인의 가치 선택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자기중심적인 가치판단을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인간은 세계 내 존재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 다양한 가치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관점만을 고려한다면 사회 속에서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인격체로서 성장하는 데 제한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치명료화 이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기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바탕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자기성찰 개념에 주목하고 자기인식, 불일치, 통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기성찰을 수업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에, 자기성찰 내용을 발문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가치명료화 이론의 가치화 과정의 발문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토의·토론, 글쓰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활용됨으로써 교육적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applying self-reflection questions to the process of valuing the value clarification theory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value clarification theory and to seek a method of value education that can consider the social relational aspect. The value clarification theory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learners to freely form values, but it has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make self-centered value judgments because it overemphasizes individual learners' value choices. Human beings engag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beings in the world. If one only consider their own point of view in various value conflict situations, one may be limited in growing into a person who lives together with others in socie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of self-reflection to understand others based on a correct self-awareness and explored ways to utilize self-reflection through self-awareness, discordance, and integration in class situations. Therefore, the content of self-reflection was composed in the form of an epilogue and applied to the process of valuing the theory of value cla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ork will ensur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being used i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discussion, and writing.
목차
Ⅰ. 서론
Ⅱ. 사회과 가치교육과 가치명료화 이론
Ⅲ. 가치명료화 이론의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
Ⅳ.‘자기성찰’단계 및 자기성찰 발문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영상 기반 학습에서 하위목표(Sub-goal) 제시와 자기모니터링(self-monitoring)이 학습동기 및 몰입, 학습효과에 미치는 효과
- 진로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불일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열린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효과 메타 분석
-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간호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준비도 탐색연구
-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가치명료화 이론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발문 적용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 사회과에서의 4·3 수업 실천 의미: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자기 연구
- 사회과 수업에서 ‘사건’의 교육적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