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IMSS 2003의 내용 영역별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이용수 3
- 영문명
- Intern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Content Areas Based on TIMSS 2003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희 김경희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8권 2호, 239~2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TIMSS 2003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를 내용 영역별로 싱가포르, 대만, 홍콩, 일본과 비교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구성형과 선다형 문항 모두에서 싱가포르에 비해 정답률이 낮았으며 일본에 비해서는 선다형 문항의 정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영역별 평균 정답률을 보면, 우리나라는 수 영역에서 싱가포르보다 낮았는데, 특히 ‘비·비율·백분율’의 차이가 컸다. 대수 영역의 하위 주제 정답률은 높았지만 측정 영역, 특히 ‘속성과 단위’에서는 정답률이 5개국 중 가장 낮았다. 기하 영역에서는 평균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나, ‘평면도형과 입체도형’, ‘대칭과 변환’에서는 높지 않았다. 자료 영역에서도 정답률이 높지 않았는데 우리나라 학생들이 중앙값, 범위, 분포 상태, 자료를 통해 미지의 값 추정하기, 자료 해석에 대하여 평가하기 등의 내용에 대한 학습 경험이 부족한 것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문항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정답률이 국제 평균보다 35% 이상 높은 문항은 194개 중 42개로서 수 10개, 대수 9개, 측정 10개, 기하 7개, 자료 6개였고, 국제 평균보다 낮은 문항은 측정, 기하, 자료 영역에 각각 하나씩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보다 전체 성취도 순위가 높았던 싱가포르에 비해 정답률이 20% 이상 낮았던 문항은 10개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results by the content areas in mathematics. Average performance is provided for five content areas: number, algebra, measurement, geometry, and data. Relative achievement is shown among the content areas for 4 countries in comparison to Korea. In number, Korea had lower average achievement than Singapore, especially for ratio·proportion·percent. Among 5 countries, Korea had the highest average achievement in algebra and geometry, but the lowest in attributes and units of measurement. In data, Korean students didn't learn the followings successfully: a) comparing charac- teristics of data sets and using mean, median, range, and shape of distribution, b) interpreting data sets (e.g., draw conclusions, make predictions, and estimate values between and beyond given data points), c) evaluating interpretations of data with respect to correctness and completeness of interpretation.
목차
Ⅰ. 서론
Ⅱ. TIMSS 2003의 수학 평가틀
Ⅲ. 내용 영역별 성취도 국제 비교 결과
Ⅳ. 문항 분석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