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revealing and clarifying ambiguities in mathematical concepts over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이용수 0
- 영문명
- 인간주의 수학교육: 수학적 개념의 모호성을 드러내고 명확히 하기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교식 임재훈 남진영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8권 2호, 201~2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성함양으로서의 수학교육을 목표로 하는 인간주의 수학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수학적 개념의 본질은 현 개념의 모호함을 인식하고 이를 명확히 하면서 점진적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군과 연속함수로 예시하였다. 수학적 개념의 학습에서도 학생들은 다소 직관적이고 모호하며 맥락-의존적으로 정의되는 학교수학의 개념들을 이전 개념의 모호성을 인식하고 분명히 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학교수학에서 접선과 다각형의 정의의 개선 과정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수학적 개념의 학습을 통하여 학생은 자신의 사고의 한계를 깨닫고, 개선하게 된다. 이러한 지적 발전은 개선의 의지와 함께 겸손과 만족이라는 감정을 수반하면서, 수학교육을 통한 심성 함양이라는 인간주의 수학교육을 구현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realized in practice. The essence of mathematical concept is gradually disclosed revealing the ambiguities in the concept currently accepted and clarifying them. Historical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has progressed as such, exemplified with the group-theoretical thought and continuous function. In lear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thus, students have to recognize, reveal and clarify the ambiguities that intuitive and context-dependent definitions in school mathematics have. We present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definitions of a tangent and a polygon in school mathematics as examples. In the process, students may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ir thoughts and reform them with feelings of humility and satisfaction. Therefore this learning process would contribute to cultivating students' minds as the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pursu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s
Ⅲ. Revealing and clarifying ambiguities in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Ⅳ. Revealing and clarifying ambiguities in mathematical concepts students have over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Ⅴ. Closing Remark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