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이용수 31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Gender Differenc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고정화 도종훈 송미영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8권 2호, 179~2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 결과 나타난 수학과 성취도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성별에 따라 수학성취도 결과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전체 검사점수(척도점수)의 성차와 문항 정답률의 성차를 통해 연도별, 학교급별, 내용 영역별 특징을 살펴본다. 더 나아가 남녀 학생 간 성취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 문항내용의 심층 분석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성별 성취도 차이의 원인을 분석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arac- teristics of the gender difference with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rom 2004 to 2006, which subjects are 3rd, 9th and 10th graders. First, we analyzed the charac- teristics of the achievement by the scale scores, according to years, achievement standards, grades. Second, we surveyed the number of items and ratio which male/female prevails and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rades, difference levels, content areas(i.e., numbers and operations, figures, measure- ment, probability and statistics, letters and formulas, patterns and function). Furthermore, we perform in-depth analysis of the items which gender difference in correct response proportion is more than 7% and analyze the cause of gender difference of achievement. This paper provides large valid data about gender difference by the results of NAEA. It can give suggestions with regard to policy 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성별 수학 학업성취도 차이에 관한 통계적 분석
Ⅴ. 문항 심층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