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 공통의 초등 수학 내용 요소 추출
이용수 0
- 영문명
- Global Common Knowledge and Skills in Elementary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선 상경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7권 제1호, 119~1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사회는 세계 모든 아동이 달성해야 할 학습성과를 설정하고 이를 측정하려는 일련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교육 단계에서 세계 모든 아동이 달성해야 할 수학 학습성과란 무엇인가를 구체화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범세계적으로 초등교육 단계에서 아동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수학 내용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적,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세계 12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교육의 범위를 초등학교 6학년까지라고 가정할 수 있었고, 공통 내용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특히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 요소들은 범세계적으로 동일한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기하, 측정, 대수 영역에서도 유사한 수준으로 내용 요소들이 나타났다. 반면, 비례와 대수는 초등 교육 마지막 단계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이지만 공통 내용 영역 혹은 내용 요소로 보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범세계적으로 초등 교육을 논의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expected to be learned by students worldwide at the elementary level of Mathematics. This was achieved by extracting knowledge and skills commonly expected to know and perform in elementary school level by analyzing elementary math curriculum of twelve countries that vary geographically and economically. Based on the data gathered and analyzed, the common domains extracted from this study in elementary level Mathematics include Number and Operations, Geometry, Measurement and Data. And knowledge and skills that children are expected to achieve in each domain by the end of primary school were listed. This research showed that for elementary level Mathematics, the majority of the curricula had the commonalities in Number and Operations, Geometry, Measurement and Data. Though this study had the limitations of analyzing curriculum documents open to public, this study will offer the ground for discussion on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a global contex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시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 CBR을 활용한 초등 영재 학생의 그래프 활동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CAS 공학을 사용한 합성함수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표상 전환 과정에 대한 분석
-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 국제 공통의 초등 수학 내용 요소 추출
-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 학교수학 제1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