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이용수 24
- 영문명
- Development and Practice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grams for the Mathematical Creativity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영우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7권 제1호, 47~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개도에 관한 open-ended 문제를 소재로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수업실제를 고려하여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를 범주화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6년과 2009년부터 2014년에 걸쳐 부산, 경남, 경북 소재의 영재교육대상자 205명 - 초등 6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 - 에게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대상 학생, 교육 환경에 따라 수정ㆍ보완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과정과 적용 결과를 살펴본다. 학생들의 산출물과 행동반응은 프로그램의 질적 발전을 가져왔으며, 학생들은 프로그램 개발의 참여자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물들은 본 교육 프로그램의 효용성과 함께 수학적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향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will develope and apply the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 creativity, with the open-ended problems about development fig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elements of the mathematical crea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 real class, and is to design a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is. To do this, from 2006 through 2014, by targeting 205 gifted students in the sixth grade until eighth grade of Busan, Gyeongnam, Gyeongbuk were carried out in class. Also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its application. As a result, students' outcomes and behavioral reactions brought about a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participa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e aim of developing a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 creativity,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 progra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Ⅱ. 연구방법과 내용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 CBR을 활용한 초등 영재 학생의 그래프 활동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CAS 공학을 사용한 합성함수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표상 전환 과정에 대한 분석
-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 국제 공통의 초등 수학 내용 요소 추출
-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 학교수학 제1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