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nalysis o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Comparison between Mathematical Processe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Mathematical Practices in CCSSM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미인 장혜원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7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새로운 2015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확대 적용이 예상되는 수학적 과정이 수학 교과서에 구현된 정도를 확인하고 그 내용에 있어서 보완이 요구되는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미국의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를 통해 공통 요소와 차이나는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 학교수학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수학적 과정 요소를 탐색하고, 현행 초등학교 4학년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과정에 있으나 구현되지 않은 수학적 실천 요소 또는 수학적 과정이 아니지만 구현된 수학적 실천 요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개발시 수학적 과정의 보완 및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mathematical processes are strongly emphasized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mathematics and are expected to be complemented and extended in 2015 revised on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rocesses are being implemented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select some elements which need complementation. To do this, we selected the mathematical practices of CCSSM as a reference, because it plays the corresponding role in the United States to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 Korea. We recognized common elements and different elements between the two and analyzed. Considering those, we searched the possibility of newer mathematical process and analyzed the 4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in relation to questions for mathematical practices. We provided the results of analyses and several suggestions for revising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실천의 비교 결과
Ⅳ. 수학적 실천에 따른 교과서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 CBR을 활용한 초등 영재 학생의 그래프 활동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CAS 공학을 사용한 합성함수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표상 전환 과정에 대한 분석
-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 국제 공통의 초등 수학 내용 요소 추출
-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 학교수학 제1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