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about the Conn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고정화 김태은 노원경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7권 제1호, 135~1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시기는 단순한 학년 변화와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 시기는 상당수 학생들이 수학 교과를 포기하게 되는 결정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수학 교과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게 되는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학 교과 관련 발달 전망에 희비가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환기에 학생들이 수학 교수학습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 그러한 변화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러한 변화가 필연적인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인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수학 교실 수업장면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환기에 놓인 학생들이 겪게 되는 교수학습의 어려움을 규명하고 그 연계를 강화하여 중학교에 수월하게 연착륙하도록 돕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junior high school and the simple change of grades. This time is also a critical time that many students would be to aband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experience in conjunction with mathematics, this timing can be either bright or dark outlook with relation to mathematical development. Thus, at this turning poi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changes the students are experiencing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hat such changes effect the students, whether or not there is room for improving such changes etc.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mparing and analyzing math lessons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in junior high school, we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experienced by students who have been placed in the turning point and suggest implications to help them to land softly into junior high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 CBR을 활용한 초등 영재 학생의 그래프 활동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CAS 공학을 사용한 합성함수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표상 전환 과정에 대한 분석
-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 국제 공통의 초등 수학 내용 요소 추출
-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 학교수학 제17권 제1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