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A Survey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원 박경미 박미미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7권 제1호, 99~1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익히는 것을 넘어서서 수학을 실행하기(doing mathematics) 그리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수학과 각론 모두 핵심역량의 강조, 정의적 성취의 신장을 중핵적인 개념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간략히 살펴보고,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우리나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학교급, 교직 경력, 학교의 소재지, 학교의 유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네 가지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각 요소마다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길수록,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짧을수록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도시 교사가 읍면지역 교사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중학교 교사들은 소재지에 따라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교사는 다른 유형 학교의 교사들보다 일부 핵심역량 요소들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나,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three cor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and two affective aspects including good human nature and attitudes. The survey results were further analyzed based on school level, teaching experience, location of schools, and types of high schools. As a result, four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do. Second, in elementary school level, longer teaching experience is correlated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However, there was an opposite tendency in secondary school level. Third, teachers working at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tend to emphasize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more than those at schools located in mid-sized cities and rural areas. Fourth, the school types in high school didn't seem to affect the teachers' perception on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Ⅳ. 정의적 측면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Ⅴ. 논의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 CBR을 활용한 초등 영재 학생의 그래프 활동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CAS 공학을 사용한 합성함수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표상 전환 과정에 대한 분석
-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 국제 공통의 초등 수학 내용 요소 추출
-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 학교수학 제1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