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이용수 19
- 영문명
-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2003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희 김수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2권 제2호, 219~2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 비교평가 결과를 볼 때 우리나라 학생들은 매우 높은 수준의 수학 성취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정의적 영역 성취도는 매우 낮은 수준에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현재 그 원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2003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성취에 영향을 주는 변인과 각각의 정의적 영역과 관련이 많은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고 다른 국가들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과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보이는 배경변인은 학교에 대한 태도, 학교에서 학생-교사 관계, 통제 전략, 암기 전략, 정교화 전략, 경쟁학습, 협동학습 7가지로 나타났다. 각각의 정의적 영역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면, 수학에 대한 흥미에는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 도구적 동기에는 수학에 대한 흥미가, 수학에 대한 자기효능감에는 수학 성취도가, 수학 불안에는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이,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에는 수학에 대한 흥미가 각각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국제비교평가에서 성취수준이 높은 국가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에게는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기르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며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기를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n inquiry of international comparison assessment, the Korean students achieve high scores in mathematics while they achieve relatively low scores in responses of the affective questionnaire. It can be an important point in mathematics education of Korea, but there are few studies which explore the specific reasons. So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results of PISA 2003(in math domain)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and features of those phenomena. We compared the results of Korean students with students of other coun- tries. As a result, there were 7 factors which effect on Korean students'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s learning and they were stati- 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is study, it needs to improve students' positive attitudes to their school, mathe- matical interest, and positive self-concept. And it needs to develop an actual instrument to explore the affective domain which effect on mathematics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정의적 영역의 성취 결과
Ⅲ.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
Ⅳ.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국가별 변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PISA 2003의 정의적 영역 설문 문항(이미경 외, 2004)
〈부록 2〉 PISA 2003의 배경변인 설문 문항(이미경 외, 2004)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