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수학적 지식 구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나귀수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2권 제2호, 151~1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구성주의적 관점에 근거한 교수실험을 실시하고, 구성주의적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이 비율 개념에 대한 수학적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고 발전시켜 나가는가를 보고하고,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구성주의적 수업의 의의, 한계, 어려움 등을 조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구성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지식의 구성 가능성과 그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학습할 개념에 대한 사전 사고 경험 제공, 학습할 개념의 심층적 이해 및 적극적 수업 참여, 학습한 개념에 대한 기억의 강화, 오개념 교정의 기회 제공,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과정 경험 등을 구성주의적 수업의 의의로서 지적하였으며, 많은 시간의 소요, 모둠별 토론에서 즉각적 피드백의 미흡, 구성주의 수업 적응에의 어려움,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이 없는 학생들이 갖는 어려움, 전체 토론에서 발문의 중요성 등을 구성주의적 수업의 한계와 어려움으로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the teaching experiment based on the constructivism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report on how they construct and develop the mathematical knowledge on ratio concept.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s and difficulti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experi- ment” which are conceiv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identifi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constructivist teaching experiment”. And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ointed out the significanc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experi- ment” such as the experience of prior thinking on the concept to be learned, the deep under- standing on the concept, the active participation to the lesson, and the experience of learning process of elementary students. Also they pointed out the difficulti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experiment” such as the consumption of much time to carry out the constructivist teaching, the absence of direct feedbacks by teacher, and the adaption on the constructivist less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및 대상
Ⅳ. 구성주의적 교수실험의 실제
Ⅴ. 결과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