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이용수 10
- 영문명
- Exploring on Learning Process of Higher-Level Performers during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환철 허난 강옥기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2권 제2호, 177~1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많은 교육학자들은 학교 수업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소집단 협력학습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정의적 태도 면에서도 도움을 준다. 학습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생들은 개념, 원리, 법칙들을 이해하면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됨을 스스로 느끼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들은 그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학습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이 부진한 학생과의 상호작용 특히 부진한 학생에게 수학을 지도하면서 어떤 수학 학습 과정을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은 동료를 지도함으로 인해 문제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높은 수준의 수학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문 초록
Small Group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settings has been endorsed by many educational experts over the years. Some studies found that learners greatly benefit from one another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These studies previously indicated improvement of a learner’s academic ability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 affective domain when using this type of instruction. Lower-level students with limited mathematical abilities improved their problem-solving and conceptual thinking skills when tasked to work with other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cess was questioned to be less evident with higher-level performer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icacy of Small Group Collaborative Instruction on higher-level students and to explore their learning process as they interact with and teach lower-level students. This study observed that higher-level students use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when helping lower-level students, and they improved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communication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연구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