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관한 분석
이용수 77
- 영문명
- Incidence and Time of Onset of Retinopathy in Premature Infants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민성 조인환 김소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5, 408~41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부터 2018년까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중증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과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임상적특징, 병기에 따른 임상적 특징, 미숙아망막병증과 출생 시 체중, 재태연령 간의 연관성, 치료받은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10.9%였고, 평균 월경후연령 34.92주에 진단되었으며,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빈도는 44.97% 였다.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은 정상 환아보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가 유의하게 적었고,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보다 중증도 이상의미숙아망막병증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출생 시 체중별, 재태연령별로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과 중증도는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 재태연령 27주 미만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레이저광응고술을 치료받은 환아의 빈도는 4.51%였는데, 평균 월경후연령 33.75주에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단되었고, 35.06주에 1형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행되었으며, 36.04주에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론: 고위험 미숙아 생존율의 증가로, 특히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 재태연령 27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중증도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숙아망막병증이 주로 발생하는 시기인 월경후연령 32주부터 36주까지는 모든 미숙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cidence and time of onset of retinopathy in premature infants in Kore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2006 to 201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tages 1 and 2 were classified as mild retinopathy and stages 3 and 4 were considered severe. The incidence, severity, time of diagnosis, associations between retinopathy and birth weight and also gestational ag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eated infa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incidence of retinopathy was 10.9% with an average time of diagnosis at 34.92 weeks postmenstrual age; the frequency of severe retinopathy was 44.97%.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remature infants with retinopathy than in normal infants. In addition,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with severe retinopathy than in those with mild retinopathy. For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tended to be higher in those with birth weights less than 1,000 g and gestational ages of less than 27 weeks. Of the infants, 4.51% underwent laser photocoagulation; the times of diagnosis, progression to type 1 retinopathy, and treatment were 33.75, 35.06, and 36.04 weeks postmenstrual age,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of premature infants increased in those with birth weights less than 1,000 g and gestational ages less than 27 weeks. Such infants should be monitored carefully between 32 to 36 weeks of postmenstrual age, when retinopathy is mainly diagnosed.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봉합사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과 플랜지형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수술 결과 비교
-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관한 분석
- 헐거운 마스크 착용이 눈물막파괴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봉합사를 이용한 공막고정술과 변형된 Yamane 무봉합공막고정술의 단기 임상 결과 비교
- 난치성 공막염에서의 리툭시맙(Rituximab)의 치료 효과 1예 보고
- 큰 맥락막 흑색종의 수술적 치료
- 소아 유피종의 임상 양상
- 한국인 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결막절개에 따른 XEN® 스텐트삽입술의 단기 효과와 안정성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에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안구 생체계측의 효용성
- 골드만안압계와의 안압 비교를 통한 토노아이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확인
- 맥락막비후가 있는 녹내장 안에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황반부 장액망막박리 증례
- 내시경적 안와감압술을 시행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 구조와 안구돌출 변화의 관계
- 원발폐쇄각녹내장에서 주변 레이저홍채절개술 및 홍채성형술 후 전방 지표의 장기 변화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