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시경적 안와감압술을 시행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 구조와 안구돌출 변화의 관계
이용수 14
- 영문명
- Associations between Orbital Morphology and Exophthalmos Changes after Endoscopic Orbital Decompression to Treat Thyroid-related Orbit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준섭 강성모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5, 359~36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내시경적 안와감압술을 시행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수술 전후 안와 구조와 안구돌출 변화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갑상샘눈병증을 진단받고 내시경을 이용하여 단독 안와내벽감압술을 시행받은 환자 18명의 33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안구돌출계 검사와 2차원 얼굴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안와 구조와 연관된 지표들을 측정하였다. 단변량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수술 후 안구돌출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변수들을 평가한 뒤, 다변량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단변량선형회귀분석에서 수술 전 안와내벽의 길이(β=0.179, p=0.032)와 수술 후 결손된 안와내벽에서 안와첨부까지의 길이(β =-0.139, p=0.006)가 수술 후 안구돌출의 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가지 변수를 반영한 다변량선형회귀분석에서 수술후 안구돌출의 변화는 결손된 안와내벽에서 안와첨부까지의 길이(β=-0.118, p=0.019)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시경적 안와감압술 후 안구돌출의 변화는 결손된 안와내벽에서 안와첨부까지의 길이와 관련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감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감압술을 계획할 때 안구돌출 정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지표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orbital morphology parameters associated with exophthalmos changes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orbital decompression to treat thyroid-related orbitopathy. Methods: In total, 33 eyes of 18 patients with thyroid-related orbitopathy who underwent endoscopic orbital decompression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6 months after surgery. We performed Hertel exophthalmometry and derived orbital morphology parameters from two-dimensional facial computed tomography records. Parameters associated with exophthalmos reduction on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subjected to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sults: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showed that the preoperative length of the medial orbital wall (β = 0.179, p = 0.032) and the postoperative distance from the cone apex to the medial wall defect (β = -0.139, p = 0.006) were associated with exophthalmos reduction after endoscopic orbital decompression surgery.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of these two parameters show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apex to the medial wall defect was associated with exophthalmos reduction (β = -0.118, p = 0.019). Conclusions: The postoperative distance from the cone apex to the medial wall defect was associated with exophthalmos reduction. In patients with thyroid-related orbitopathy, this associ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endoscopic orbital decompress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봉합사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과 플랜지형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수술 결과 비교
-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관한 분석
- 헐거운 마스크 착용이 눈물막파괴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봉합사를 이용한 공막고정술과 변형된 Yamane 무봉합공막고정술의 단기 임상 결과 비교
- 난치성 공막염에서의 리툭시맙(Rituximab)의 치료 효과 1예 보고
- 큰 맥락막 흑색종의 수술적 치료
- 소아 유피종의 임상 양상
- 한국인 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결막절개에 따른 XEN® 스텐트삽입술의 단기 효과와 안정성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에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안구 생체계측의 효용성
- 골드만안압계와의 안압 비교를 통한 토노아이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확인
- 맥락막비후가 있는 녹내장 안에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황반부 장액망막박리 증례
- 내시경적 안와감압술을 시행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 구조와 안구돌출 변화의 관계
- 원발폐쇄각녹내장에서 주변 레이저홍채절개술 및 홍채성형술 후 전방 지표의 장기 변화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