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발폐쇄각녹내장에서 주변 레이저홍채절개술 및 홍채성형술 후 전방 지표의 장기 변화 결과
이용수 4
- 영문명
- Long-term Outcome of Anterior Chamber Parameters after Laser Iridotomy and Iridoplasty in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세익 이우혁 강태신 김지혜 한용섭 조현경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5, 423~4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원발폐쇄각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주변 레이저홍채절개술 및 홍채성형술을 시행한 후 전방 지표의 변화를 이중샤임플러그분석기를 사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원발폐쇄각녹내장을 진단받고 레이저를 시행받은 32명의 환자들의 32안이 본 후향적 연구에 포함되었다. 급성폐쇄각발작 사례는 제외하였다. 이중샤임플러그검사는 레이저를 시행하기 전과 1주일 후, 매년마다 시행하였다. 전방깊이, 전방부피, 평균 전방각도 및 안압을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32.28 ± 13.34개월이었으며,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의 기저치는 다음과 같다: 연령, 63 ± 7.9세; 여성, 62.5%; 안압, 15.48 ± 4.79 mmHg; 전방깊이, 2.09 ± 0.19 mm; 시야검사의 mean deviation, -7.97 ± 8.49 dB. 전방깊이는 기저치에서 2.15 ± 0.32 mm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36). 전방부피는 레이저 후 기저치 78.32 ± 11.49 mm3에서 83.04 ± 11.16 mm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1). 평균 전방 각도는 레이저 후 기저치 26.86 ± 2.53°에서 28.82 ± 4.64°로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2). 안압은 레이저 후 기저치에서 13.06 ± 2.21 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결론: 원발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레이저 시행 후 전방각 지표들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장기간에 걸친 추적 관찰 동안 개선된상태가 유지되었다. 또한 안압은 레이저 시행 후 2.5년 이상의 장기 추적 관찰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long-term outcomes of anterior chamber angle parameters in patients with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PACG) after peripheral laser iridotomy (LI) combined with iridoplasty (PI) using a dual Scheimpflug analyz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32 eyes in 32 patients diagnosed with PACG who underwent LI plus PI. Patients with an acute angle closure crisis were excluded. Dual Scheimpflug analyzer images were acquired before and 1 week after LI plus PI, and yearly afterwards.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volume (ACV), mean anterior chamber angle (ACA),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 mean follow-up was 32.28 ± 13.34 months. Baseline demographics were age 63 ± 7.9 years, 62.5% female, IOP 15.48 ± 4.79 mmHg, ACD 2.09 ± 0.19 mm, and visual field mean deviation -7.97 ± 8.49 dB. ACD increased from baseline to 2.15 ± 0.32 mm, but it was not significant (p = 0.136). ACV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78.32 ± 11.49 mm at baseline to 83.04 ± 11.16 mm at the last visit after LI (p = 0.011). The mean ACA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6.86 ± 2.53° at baseline to 28.82 ± 4.64° at the last visit (p = 0.022). IOP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to 13.06 ± 2.21 mmHg at the last visit (p = 0.001). Conclusions: The ACA parameters improved after LI combined with PI in patients with PACG and remained so on long-term follow- up. IOP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for more than 2.5 years after LI plus PI.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봉합사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과 플랜지형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수술 결과 비교
-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관한 분석
- 헐거운 마스크 착용이 눈물막파괴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봉합사를 이용한 공막고정술과 변형된 Yamane 무봉합공막고정술의 단기 임상 결과 비교
- 난치성 공막염에서의 리툭시맙(Rituximab)의 치료 효과 1예 보고
- 큰 맥락막 흑색종의 수술적 치료
- 소아 유피종의 임상 양상
- 한국인 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결막절개에 따른 XEN® 스텐트삽입술의 단기 효과와 안정성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에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안구 생체계측의 효용성
- 골드만안압계와의 안압 비교를 통한 토노아이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확인
- 맥락막비후가 있는 녹내장 안에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황반부 장액망막박리 증례
- 내시경적 안와감압술을 시행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 구조와 안구돌출 변화의 관계
- 원발폐쇄각녹내장에서 주변 레이저홍채절개술 및 홍채성형술 후 전방 지표의 장기 변화 결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평가도구의 성인(18~54세) 적용 가능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