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유피종의 임상 양상
이용수 14
- 영문명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Dermoid Cyst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권지민 이주연 권지원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5, 382~38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소아 유피종 환자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9년 7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유피종으로 진단된 만 18세 미만 소아 환자 64명 65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64명의 환자 중 48명 49안에서 각막유피종이 관찰되었고, 16명 16안에서 결막유피지방종이 관찰되었다. 각막유피종 환자중 골덴하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는 3명(6%)이었고, 위치는 좌안(61%)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주로 하이측(80%)에서 관찰되었다. 크기는 수평직경(3.76 ± 1.30 mm)이 수직직경(3.74 ± 1.30 mm)에 비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고, 색은 노란색(35.2%)이 가장 많았으며, 눈 감을 때 관찰되지 않는 경도 융기(55.9%)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각막유피종 환자 중 시력 측정이 가능했던 23명 23안의평균 최대교정시력은 0.8 ± 0.2였고, 평균 난시값은 -2.1 ± 2.2 diopters (D), 평균 각막난시값은 -2.0 ± 1.1 D로 측정되었다. 결막유피지방종 환자 중 특이 병력이 있는 환자는 없었고, 위치는 좌안(75%)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이측 혹은 상이측 결막 구석에서관찰되었다. 결막유피지방종 환자 중 시력 측정이 가능했던 7명의 평균 최대교정시력은 0.9 ± 0.0였고, 평균 난시값은 -0.3 ± 0.2 D로측정되었다. 결론: 선천성 양성 종양인 유피종은 선천성 질환과 동반되어 발생하기도 하고, 크기, 위치, 색 등에 있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크기나위치, 침범 범위에 따라 난시, 약시를 유발하는 등 기능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dermoid cyst patient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64 dermoid cyst patients (65 eyes) aged < 18 years. Results: Limbal dermoids and conjunctival dermolipomas were observed in 49 and 16 eyes (48 and 16 patients), respectively. Limbal dermoids were more common in the left eye (61%), particularly on the inferotemporal side (80%). Three (6%)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Goldenhar syndrome. The horizontal diameter (3.76 ± 1.30 mm) was greater than the vertical diameter (3.74 ± 1.30 mm). Most of the lesions were yellow (35.2%) in color, mildly elevated (n = 19, 55.9%), and not visible when the eyes were closed. The mea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8 ± 0.2 in 23 patients, with mean astigmatism and mean corneal astigmatism values of -2.1 ± 2.2 diopters (D) and -2.0 ± 1.1 D, respectively. None of the conjunctival dermolipoma patients had any ocular history. The left eye (75%), particularly the temporal and superiotemporal conjunctival fornix, was the most commonly affected site. The mea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9 ± 0.0 in seven patients, with an average astigmatism of -0.3 ± 0.2 D. Conclusions: Dermoid cysts are congenital benign tumor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congenital diseases. They vary in size, location, color, and extent of invasion, and may cause functional problems, such as astigmatism and amblyopia. Therefore, timely surgical treatment is desirable.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봉합사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과 플랜지형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수술 결과 비교
-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관한 분석
- 헐거운 마스크 착용이 눈물막파괴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봉합사를 이용한 공막고정술과 변형된 Yamane 무봉합공막고정술의 단기 임상 결과 비교
- 난치성 공막염에서의 리툭시맙(Rituximab)의 치료 효과 1예 보고
- 큰 맥락막 흑색종의 수술적 치료
- 소아 유피종의 임상 양상
- 한국인 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결막절개에 따른 XEN® 스텐트삽입술의 단기 효과와 안정성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에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안구 생체계측의 효용성
- 골드만안압계와의 안압 비교를 통한 토노아이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확인
- 맥락막비후가 있는 녹내장 안에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황반부 장액망막박리 증례
- 내시경적 안와감압술을 시행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 구조와 안구돌출 변화의 관계
- 원발폐쇄각녹내장에서 주변 레이저홍채절개술 및 홍채성형술 후 전방 지표의 장기 변화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