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國古代 葬墓文化에 나타나는 風水觀念
이용수 61
- 영문명
- The Fengshui Idea(風水觀念) in the Funeral Culture(葬墓文化) of Ancient China(中國古代): Focusing on Pre-Qin Era(先秦時代)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이무영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3집, 365~3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중국 先秦時代 葬墓文化에 나타나는 風水觀念을 고전과 제자서를 참고하여 고찰한 것이다. 사람은 태어나면 누구나 죽음을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自然의 法則이다. 사람들은 생명과정에 순탄함도 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유적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죽음은 최초에는 공동으로 무덤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혼자 묻힌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풍수관념적인 요인으로 충분히 볼 수 있다. 풍수에서는 물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고대 사람들도 물과 떨어져 살 수는 없었다. 埋葬하는 것은 감추고 갈무리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들판에 버렸다가 어느 날 그 앞을 지나다가 짐승들이 해치는 것을 보고 덮어 줄 수 있었던 마음은 부모자식간의 애틋한 정이 작용한 것이다. 이것은 조상과 후손간의 인정의 끌림을 논술하는 것인데, 음택풍수의 결과물이기도 하지만, 자연의 순리를 따라야함을 서술하고 있다. 生과 死는 풍수지리에서 중요한 공간과 시간을 차지하는데, 살아서는 주택에 의지하여야 하고 죽으면 묏자리에 안장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idea of Fengshui(風水觀念) in the funeral culture in Pre-Qin era of China was examined with classics and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as reference. It’s an inevitable law that once a person is born, he or she cannot avoid death. Some people’s life goes well in the process of life while that of others doesn’t. The death verified in historic sites shows that, at the beginning, cemetery existed jointly. Of course, sometimes a person was buried there alone. This situation can be seen as an element of Fengshui idea. In Fengshui, wa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ancient people also couldn’t live apart from water. Burial(埋葬) had the meaning of hiding and putting away in order. When a person threw away a body, saw animals damaging it while passing by the place one day, and covered it, the loving affection between a parent and a child was working. It states the attraction of sympathy between an ancestor and a descendant. It’s the outcome of grave Fengshui, and it also states that one must follw the ways of nature. Life( 生) and death(死) take up important space and time in Fengshui. When one’s alive, he/she should rely on a house, and when one’s dead, he/she is buried in a grave site.
목차
Ⅰ. 서론
Ⅱ. 선진 제자서에 보이는 風水觀念
Ⅲ. 先秦時代陰宅風水觀念
Ⅳ. 先秦時代厚葬과 節葬의 風水觀念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분석
- 鄭玄 『箋』의 禮論 小考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현대중국어 유머 언어의 인지적 분석
- 中國古代 葬墓文化에 나타나는 風水觀念
- “生命與歌頌”-於道泉譯本《第六代達賴喇嘛倉央嘉措情歌》詩風與意象研究
- 论花间词情境构建的整一性
- 全媒体视域下对中国电视剧产业发展探索
- 생성 기반 AI와 중국어 교육의 공전 가능성에 관한 초탐
- “文学四要素”视角下明清《水浒传》序跋研究
- 사자성어에 포함된 숫자 간의 상관관계 연구
- 한중 ‘명(明)’ 구성 어휘의 의미 특성 연구
- 소동파 『水陸法像贊』의 철학적 함의
- 복합어 構詞의 구조와 의미관계 고찰
- 중국어의 한자어와 비한자어
- 현대 중국어 부사의 虛實 고찰
- 공상임의 紅橋修禊 의의와 가치 연구
- 저항과 참회로 재현된 신체 서사의 의미
- 『叔夷鐘·鎛』 人稱代詞 用法에 대한 再考察
- 中国职业本科教育社会认同的实践理路
- 중국인문과학 제83집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