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명(明)’ 구성 어휘의 의미 특성 연구
이용수 71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Words Containing “명(明)”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이선희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3집, 21~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밝다’의 의미를 가진 한자어 ‘명(明)’과 중국어 ‘明’으로 구성된 어휘를 대상으로 내포된 의미성분분석을 통해 明의 의미 확장 양상을 살피고 그 기제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중국에서 동일한 한자가 어떻게 개념화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明’은 빛, 시간, 방향, 위치 및 장소, 방식, 내용, 상황, 이유, 말, 밝히다, 나타내다, 시각 및 청각, 학문, 식견, 지혜, 감정, 태도, 눈동자, 사물, 천체, 색채, 날씨 및 계절, 물, 경치, 지위, 신, 삶, 물질, 기술, 사회, 정신, 가치 영역으로 의미가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공통적으로 ‘명’과 ‘明’은 긍정적 의미자질로 발현된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낮에 살아가는 주행성 동물로, 밤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빛, 밝음을 긍정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반면, 양국의 인식 차이로 인해 색채, 날씨, 방향 및 위치, 장소, 태도, 가치, 지위, 삶, 시간, 방식, 물체, 감각 영역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words containing the character ‘명(明)' or '明,’ which conveys the meaning of 'bright,’ and analyzes them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same Chinese character has evolved and been conceptualized in the Korean and Chinese cultures.In both Korean and Chinese, '명' or '明' carries positive semantic features. Humans are basically diurnal animals that are active during the day. Therefore, while it is difficult to protect ourselves from all sorts of invisible dangers at night, it is usually the opposite during the day. As such, understanding light and brightness as a positive concept comes from our daily and physical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he words are used differently due to differences in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countries. Specifically, the Korean word conveys the meaning of [white] in color, [clear] in weather, [east] and [south] in direction and location, [good place] in setting, [fearless] in attitude, [happiness] and [hope] in value, [high-ranking], [honorific] and [royalty] in social hierarchy, and [this life] and [present life] in life. However, there are meanings that only the Chinese word carries, such as [outside] and [surface] in direction and location, [later], [after] and [day] in time, [publicly], [in detail], [officially], and [definitely] in method, [clear] in object, [auditory] in sensory, and [firm], [respect], [worship], and [preciousness] in attitude.
목차
Ⅰ. 서론
Ⅱ. 다의어의 형성과 기제
Ⅲ. 한중 명(明) 구성 어휘에 나타나는 다의 특성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분석
- 鄭玄 『箋』의 禮論 小考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현대중국어 유머 언어의 인지적 분석
- 中國古代 葬墓文化에 나타나는 風水觀念
- “生命與歌頌”-於道泉譯本《第六代達賴喇嘛倉央嘉措情歌》詩風與意象研究
- 论花间词情境构建的整一性
- 全媒体视域下对中国电视剧产业发展探索
- 생성 기반 AI와 중국어 교육의 공전 가능성에 관한 초탐
- “文学四要素”视角下明清《水浒传》序跋研究
- 사자성어에 포함된 숫자 간의 상관관계 연구
- 한중 ‘명(明)’ 구성 어휘의 의미 특성 연구
- 소동파 『水陸法像贊』의 철학적 함의
- 복합어 構詞의 구조와 의미관계 고찰
- 중국어의 한자어와 비한자어
- 현대 중국어 부사의 虛實 고찰
- 공상임의 紅橋修禊 의의와 가치 연구
- 저항과 참회로 재현된 신체 서사의 의미
- 『叔夷鐘·鎛』 人稱代詞 用法에 대한 再考察
- 中国职业本科教育社会认同的实践理路
- 중국인문과학 제83집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