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량 복구 우선순위에 따른 도로망의 내진 복원력 비교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the Seismic Resilience of Transportation Networks according to Bridge Recovery Prior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윤성식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2호, 101~10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지진은 교량 구조물의 손상을 발생시켰고, 그 결과 도로 네트워크의 통행시간 증가에 따른 큰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네트워크에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교량의 복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내진 복원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교량의 복구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1) 성능기반, 2) 이익-비용에 기반한 복구순위를 도입하였다. 제안된 복구 우선순위에 따른 도로망의 내진 복원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 포항 도로 네트워크를 재구성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이익-비용에 기반한 복구 우선순위보다 성능에 기반한 복구 우선순위가 더 신속한 복원력 곡선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Recently, frequent earthquakes have damaged bridge structures, causing great inconvenience owing to the disruption of transportation networks and increasing travel time. In this study, the restoration priority of bridges under seismic conditions was proposed and the seismic resilience curves were compared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o determine the restoration priority of bridges, 1) performance-based and 2) benefit-cost-based restoration priorities were introduced. For demonstration purposes, the actual Pohang road network was reconstructed and the seismic resilience curves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proposed restoration priorities were compared.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performance-based restoration priority had a more rapid seismic resilience curve than benefit-cost-based restoration priority.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에 대한 토의
3. 복원력 평가 방법
4. 적용예제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사로에서의 군중 밀집도에 따른 이동시간 비교 및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2호 목차
- 화재시뮬레이션(FDS)을 활용한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에 관한 연구
- 지형정보의 해상도와 해석격자 차이에 의한 토석류 해석 비교 결과 분석
- 교량 복구 우선순위에 따른 도로망의 내진 복원력 비교 연구
- 국내 대기오염 측정망에 대한 적절성 평가
- 모래의 입경, 점토 광물 특성에 따른 모래-점토 혼합토의 세립토 이탈현상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구조물 관점의 진동 영향 평가
- 실업급여지급을 활용한 COVID-19 확산단계에 따른 지역별 경제회복력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산불발생예측모형 개발과 과제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사용자 관점의 체감형 진동 영향 평가
- 철도방음벽의 내구성능 산정을 위한 동적 효과 평가 기법
-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강합성 콘크리트 거더 연결부의 거동 분석
- 복합 PP(Polypropylene)로 제작된 제방 내부 설치 차수벽의 효과성 검증 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