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사로에서의 군중 밀집도에 따른 이동시간 비교 및 분석
이용수 80
- 영문명
- Analysis of Evacuation Time and Evacu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Crowd Density on a Ramp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서영 공하성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2호,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경사로에서의 대피 방향과 인원이 증가했을 때의 이동시간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 군중 밀집도가 높은 장소에서 경사로로 대피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경사로에서 면적당 5명 이상의 보행자가 통행할 경우 경사로를 빠져나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가벽으로 인해 경사로의 폭이 좁아질 경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경사로에서의 보행자가 많은 경우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한 쪽 방향으로만 통행하는 것이 경사로를 빠져나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적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군집밀도가 상당한 곳에 경사로 통행길이 있을 경우 보행자의 통행 방향을 한 쪽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위험성을 낮추는데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se evacuation direction and time as primary data for a situation where one needs to evacuate from a crowd-density place on a ramp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cuation direction and evacuation time with respect to the crowd density on a ramp. The results showed that it took longer to exit the ramp when more than five pedestrians per area passed on the ramp. In addition, reducing the width of the ramp with a faux wall also increased the duration required for pedestrians to evacuate safel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less time was required to exit the ramp when the pedestrians evacuated in one direction,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when there is a ramped passage at a place with a high crowd density, pedestrians should move in one direction during the evacuation process.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실험결과 및 분석
5.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사로에서의 군중 밀집도에 따른 이동시간 비교 및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2호 목차
- 화재시뮬레이션(FDS)을 활용한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에 관한 연구
- 지형정보의 해상도와 해석격자 차이에 의한 토석류 해석 비교 결과 분석
- 교량 복구 우선순위에 따른 도로망의 내진 복원력 비교 연구
- 국내 대기오염 측정망에 대한 적절성 평가
- 모래의 입경, 점토 광물 특성에 따른 모래-점토 혼합토의 세립토 이탈현상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구조물 관점의 진동 영향 평가
- 실업급여지급을 활용한 COVID-19 확산단계에 따른 지역별 경제회복력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산불발생예측모형 개발과 과제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사용자 관점의 체감형 진동 영향 평가
- 철도방음벽의 내구성능 산정을 위한 동적 효과 평가 기법
-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강합성 콘크리트 거더 연결부의 거동 분석
- 복합 PP(Polypropylene)로 제작된 제방 내부 설치 차수벽의 효과성 검증 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