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대기오염 측정망에 대한 적절성 평가
이용수 96
- 영문명
- Evaluation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in Korea: Focusing on Wind Direction and Speed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차호영 전창현 이진욱 백종진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2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월별 풍향과 풍속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기오염 측정망에 대한 적절성 평가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2020년의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QMs)에 대한 위·경도를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기상관측소를 파악했다. 다음, 가장 가까운 기상관측소에서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측정한 풍향과 풍속 데이터를 AQMs에 적용했다. 마지막으로 대기오염 영향각과 영향거리를 변동시키면서 대기오염 영향범위가 그려져 있는 지도를 제작했다. 다양한 조건을 변동시키면서 지도에 표시한 대기오염 영향범위의 형태를 살펴본 결과, 강원도에 대기오염 영향범위가 속하지 않는 지역이 존재했다. 전체 면적에 대한 영향범위에 속하지 않은 면적의 비율은 대기오염 영향각 및 대기오염 영향거리와 반비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조건에서 최소 0.01%부터 최대 48.86%까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대기오염 측정소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향범위에 속하지 않은 면적의 비율은 대기오염 측정소의 추가 설치에 대한 여부의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an air quality network using monthly wind direction and speed. First, the nearest weather station was identified us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QMs) in 2020. Next,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data measured by the nearest weather station from 2010 to 2021 were applied to AQMs. Finally, a map with the range of air pollution influence was produced while varying air pollution influence distance and air pollution influence angle. On varying conditions, there were consistent areas in Gangwon-do that were without a range of air pollution influence. The percentage of areas without a range of air pollution influence in entire areas called percentage by non-measurement. The results derived are as follows: it showed that the percentage by non-measurement ha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air pollution influence angle and distance, then it was from 0.01% to 48.86% for each condition. The method could propose additional AQMs locations based on the range of air pollution influ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rtion of areas excluded from the impact range of air pollu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regulations f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론
3. 대상지역 선정
4. 적용 결과 및 토의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사로에서의 군중 밀집도에 따른 이동시간 비교 및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2호 목차
- 화재시뮬레이션(FDS)을 활용한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에 관한 연구
- 지형정보의 해상도와 해석격자 차이에 의한 토석류 해석 비교 결과 분석
- 교량 복구 우선순위에 따른 도로망의 내진 복원력 비교 연구
- 국내 대기오염 측정망에 대한 적절성 평가
- 모래의 입경, 점토 광물 특성에 따른 모래-점토 혼합토의 세립토 이탈현상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구조물 관점의 진동 영향 평가
- 실업급여지급을 활용한 COVID-19 확산단계에 따른 지역별 경제회복력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산불발생예측모형 개발과 과제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사용자 관점의 체감형 진동 영향 평가
- 철도방음벽의 내구성능 산정을 위한 동적 효과 평가 기법
-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강합성 콘크리트 거더 연결부의 거동 분석
- 복합 PP(Polypropylene)로 제작된 제방 내부 설치 차수벽의 효과성 검증 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