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Sand Grain Size and Clay Mineralogy on Suffusion of Sand-Clay Mixtur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주인철 원종묵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2호, 91~9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립토 이탈현상은 많은 내부침식 현상 중 하나이며 지반내 미세입자의 탈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지속적인 세립토 이탈현상은 지반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 광물의 특성과 모래 입자의 크기에 따른 세립토의 이탈을 확인하기 위해 2차원 실내 세립토 이탈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는 3가지 다른 종류의 모래(K3, K4, K5)와 점토(Kaolinite, Illite, Bentonite)를 이용하여 총 9가지 모래-점토 혼합토에 대한 세립토 이탈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 시료별 유출곡선을 산정하여 점토/모래별 세립토 이탈량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의 입경 크기가 작을수록 세립토의 이탈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일라이트에 비해 카올리나이트에서 더 많은 세립토의 이탈이 나타났다. 또한 팽창성이 큰 벤토나이트의 경우 세립토의 이탈량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유출곡선을 통해 산정된 상부/중간/하부에서의 세립토 유출량을 통하여 점토 광물의 종류 및 모래 입경 크기에 따른 세립토 이탈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Suffusion is a type of internal erosion caused by the detachment of fine particles. Additionally, continuous suffusion reduces the stability of geotechnical infrastructures.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lay mineralogy and sand grain size on the suffusion of sand-clay mixtures was investigated using two-dimensional laboratory experiments on nine different sand-clay mixtures made of three types of sands (K3, K4, and K5) and clays (kaolinite, illite, and bentonite). The breakthrough curve for each sample was obtained for the top/middle/bottom outlets of the designed cell to measure and analyze the amount of detached clay. It was observed that as the sand grain size decreased, the amount of detached clay was more and clays with kaolinite exhibited greater suffusion than those with illite. Bentonite exhibited the lowest amount of detached clay owing to its high swelling potential. The influence of clay mineralogy and sand grain size on the suffusion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obtained breakthrough curves.
목차
1. 서 론
2. 유체 흐름에 의한 세립토 이탈
3. 실험시료 및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사로에서의 군중 밀집도에 따른 이동시간 비교 및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2호 목차
- 화재시뮬레이션(FDS)을 활용한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에 관한 연구
- 지형정보의 해상도와 해석격자 차이에 의한 토석류 해석 비교 결과 분석
- 교량 복구 우선순위에 따른 도로망의 내진 복원력 비교 연구
- 국내 대기오염 측정망에 대한 적절성 평가
- 모래의 입경, 점토 광물 특성에 따른 모래-점토 혼합토의 세립토 이탈현상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구조물 관점의 진동 영향 평가
- 실업급여지급을 활용한 COVID-19 확산단계에 따른 지역별 경제회복력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산불발생예측모형 개발과 과제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사용자 관점의 체감형 진동 영향 평가
- 철도방음벽의 내구성능 산정을 위한 동적 효과 평가 기법
-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강합성 콘크리트 거더 연결부의 거동 분석
- 복합 PP(Polypropylene)로 제작된 제방 내부 설치 차수벽의 효과성 검증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