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재시뮬레이션(FDS)을 활용한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7
- 영문명
- Predicting the Fire Spread Path in Jecheon Sports Center Using a Fire Dynamics Simulator (FD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윤주 김윤성 진승현 구인혁 권영진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2호, 61~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7년 제천스포츠센터 화재로 인하여 약 8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특히 2층과 3층에서 화재피해 형태가 상이하게 발생해 일반적인 화재사례와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후 발간된 화재백서 및 보고서 등에서는 주요 화재확산경로를 화물용 승강기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로 인한 소손 피해, CCTV 및 재실자 증언 등의 자료에 따르면 화물용 승강기가 2층과 3층에서 상이한 피해를 야기한 화재확산경로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확산 경로를 명확히 추정하기 위하여 화재사례 및 화재시뮬레이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화물용 승강기보다 주 계단이 주요 화재확산경로로서 더욱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2017, a fire at the Jecheon Sports Center resulted in approximately 80 casualties. Interestingly, the extent of fire damage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differed from the general type of fire damage. The white papers and reports of the Jecheon Fire Department indicated that the primary spread path of the fire was a freight elevator. However, analysis of the damage caused, CCTV footage, and victim testimonies suggested that the freight elevator may not have been the primary fire spread path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 was need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ire. In this study, fire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a Fire Dynamics Simulator (FDS) and compared with actual fire cases, which enabled us to predict the fire spread path accurately. It was found that the main stairway was more likely to have been the main fire spread path than the freight elevator.
목차
1. 서 론
2. 화재확산경로 추정을 위한 층별 피해조사
3. 화재시뮬레이션과 화재사례 비교를 통한화재확산경로 재추정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사로에서의 군중 밀집도에 따른 이동시간 비교 및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2호 목차
- 화재시뮬레이션(FDS)을 활용한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에 관한 연구
- 지형정보의 해상도와 해석격자 차이에 의한 토석류 해석 비교 결과 분석
- 교량 복구 우선순위에 따른 도로망의 내진 복원력 비교 연구
- 국내 대기오염 측정망에 대한 적절성 평가
- 모래의 입경, 점토 광물 특성에 따른 모래-점토 혼합토의 세립토 이탈현상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구조물 관점의 진동 영향 평가
- 실업급여지급을 활용한 COVID-19 확산단계에 따른 지역별 경제회복력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산불발생예측모형 개발과 과제
- 보도교 사용자의 통행 유형에 따른 사용자 관점의 체감형 진동 영향 평가
- 철도방음벽의 내구성능 산정을 위한 동적 효과 평가 기법
-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강합성 콘크리트 거더 연결부의 거동 분석
- 복합 PP(Polypropylene)로 제작된 제방 내부 설치 차수벽의 효과성 검증 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