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일항쟁군의 전통의학 이용에 관한 고찰
이용수 47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 of Traditional Medicine by the Righteous Army against Imperial Japanese Army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정다원 복기대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4호, 517~54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통의학은 수십 세기 전부터 인류가 축적해온 의학지식 및 경험의 산물이다. 근대에 들어서며 대한제국의 전통의학은, 일제에 의해 말살될 뻔했으나, 대중과 대일항쟁군의 삶 속에 계속 존재했고 오히려 대일항쟁활동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간도 및 만주에서 활동했던 대일항쟁군에게 전통의학이 어떤 의미였는지 고찰했다. 전통의학 이용사례와 역사적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전통의학의 의미를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수단, 현지자원 활용수단, 군자금 조달 및 정보교류 수단으로 나누어 밝혔다. 이를 통해 전통의학 역시 의료체계를 가졌고, 군의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는 점이 인정받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Over the course of centuries, traditional medicine has accumulated a wealth of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context of Korea,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posed a significant threat to the survival of traditional medicine. Despite the challenges, traditional medicine continued to be practiced by ordinary people and the righteous army against imperial Japanese army(RAIJA), and was even employed in anti-Japanese activitie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RAIJA in Gando and Manchuria.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 and case studies of traditional medicine usage, this research reveals the multifaceted meaning of traditional medicine, including its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s, utilization of local resources, fundraising and information exchange method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a medical system within traditional medicine and its practical utility for military purposes.
목차
1. 머리말
2. 근대의 전통의학에 대한 인식
3. 대일항쟁군의 전통의학 이용사례 및 고찰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배달(倍達) 의 뜻과 유래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세종 6진의 위치 비정 비판
- 언론사 기자들의 식민사관 추종과 전파 양상
- 대일항쟁군의 전통의학 이용에 관한 고찰
- 『書經』 「虞書·舜典」 동후(東后)의 본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루마니아 과거청산에 관한 연구
- 『사기』 「조선열전」에 나타난 패수 위치 고찰
- 일송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독립투쟁
- 한국어 학습용 한자성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 사주 오행 중 金일간의 강약과 질병의 연관성에 대한 명리학적 고찰
-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기생의 재조직화와 사회적 활동
- 신시론의 실존주의와 김수영
- 남한 강단사학계 가야사 연구 비판
- 통일 신라의 강역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