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송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독립투쟁

이용수 112

영문명
Historical Awareness and Struggle for Independence by Kim Dong-sam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이시종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14호, 7~49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송 김동삼은 경북 안동 출신으로 이상룡, 유인식 등과 함께 혁신유림으로 활동하면서 협동학교를 설립함과 동시에 대한협회 안동지회, 대동청년단등의 활동을 통해 일제에 저항하였고,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한 이후에는무장독립투쟁을 위해 만주로 망명, 경학사. 공리회. 부민단. 한족회 등에서먼저 이주한 조선인들과 1910년 이후 이주한 조선인들 간의 분쟁과 정착, 교육 등에 힘썼다. 또한 중국인들과의 갈등. 조정과 함께 신흥무관학교와 백서농장, 서로군정서와 대한통의부, 정의부 등 군사조직에서는 군권의 책임자로서 만주 일대 독립투쟁단체를 통합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통해 독립투쟁의 최고인물로역사에 기록되고 있다. 김동삼의 이러한 일관된 독립투쟁의 근원에는 독립투쟁을 통한 조국 광복에 대한 의지와 함께 ‘대종교’가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김동삼과 교류한 이상룡, 유인식, 신채호, 윤세복 등은 대종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윤세복이 작성한 자료에는 김동삼을 대종교의 중요인물로 기록하고 있으며, 일제가 상부에 보고한 내용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김동삼은 만주로의 망명이전 신채호의 역사관과 대종교가 주창하는단군민족주의 역사관을 체득하고 있었고, 이러한 역사인식은 만주로의 망명이후 무장독립투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해야 해야 한다는 것으로 승화되었다.

영문 초록

Born in Andong in Gyeonsangbuk-do in Korea, Kim Dong-sam (pen name: Ilsong) participated in Hyeoksin Yurim (referring to the innovative Confucians in Korean) with Yi Sang-ryong and Yu Insik among others. He also established the Hyepdong School and struggled against the tyranny of Japanese rule by serving as a member of the Andong Branch of Daehan Association, and the Daedong Young Man Group. After the fall of the Korean Empire, he sought asylum in Manchuria for the Korean armed independence movement. He engaged in many of the resolving struggles between Koreans who migrated earlier than 1910 and those who did so after 1910 in the organizations, including Gyeonghaksa, Gongrihoe, Bumindan, and Hanjokhoe, and made every effort to support their settlement and education. He also devoted himself to solving and settling conflicts with the Chinese. As the person recognized for his the military authority 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including the Military School of the New Rising, Baekseo Nongjang, Sero Gunjeongseo, Daehan Tonguibu, he is highly thought of as an independent activist, who integrated and coordinated independence movement associations throughout Manchuria. It can be deemed that his consistent and tireless struggle was based on his strong will for liberation and was highly influenced by Daejongism. Yi Sang-ryong, Yu Insik, Shin Chae-ho, Yun Se-bok, who interacted with Kim Dong-sam, were closely related to Daejongism. Yun Se-bok recorded that Kim was the most important person in Daejongism and it can be also ascertained in the report written by the Empire of Japan. Before moving to Manchuria, Kim Dong-san was already aware of the historic view of Shin Chae-ho and of Dangunist (with Dangun referring to “the divine progenitor”) nationalism, which had transcended to attaining independence by armed independence struggles after entering asylum in the region. His belief in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National Party led by Kim Gu, which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side of China and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by Kim Won-bong, which can be demonstrated by the memorial ceremony held by the two parties on a large scale after his death.

목차

1. 머리말
2. 김동삼의 안동에서의 활동과 신채호의 「독사신론」
3.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대종교
4.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서간도에서의 독립투쟁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시종. (2023).일송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독립투쟁. 역사와 융합, (), 7-49

MLA

이시종. "일송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독립투쟁." 역사와 융합, (2023): 7-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