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배달(倍達) 의 뜻과 유래
이용수 75
- 영문명
- Meaning and Origin of ‘Baedar’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박덕규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4호, 487~51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달(倍達)’은 1900년대 초반 대종교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여 대일항쟁기를 거치면서 대종교 지도자와 독립운동가를 중심으로 우리 민족을 지칭하는 보편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배달’의 뜻과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로 나뉘어 있다. 대종교는 ‘배달’이 단군의 성호이자단군조선의 본래 국호였다고 말하고, 환단고기를 신뢰하는 견해들은 ‘배달’은 환웅천왕의 신시배달 즉, 배달국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반된 견해는 ‘배달’의 뜻과 유래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와 연구의 부족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대종교에서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서 단군과 단군조선을 지칭하는 용어로 ‘배달’을 사용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대종교의 삼신일체설이 역사상으로 정립되는 과정에서 환인·환웅·단군을 하나의 위격, 즉, 단군으로 일체시하면서 배달과 단군, 단군조선을 동일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Baedar’ was first used in Dae-jong-gyo in the early 1900s and was used as a universal term to refer to the Korean people, mainly by Dae-jong-gyo leaders and independence activ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the meaning and origin of ‘Baedar’ are divided into two views. Dae-jong-gyo explained that ‘Baedar’ was the holy name of Dan-gun and the original national name of Dan-gun Joseon, and opinions that believe in Hwan-dan-go-gi understand ‘Baedar’ as ‘Shin-shi-bae-dar’ or Baedar nation of King Hwan-woong-cheon-hwang. These conflicting views are thought to be due to the lack of specific review and research on the meaning and origin of ‘Baedar’.
This study examined when and through what process the Dae-jong-gyo used 'Baedar' as a term for Dan-gun and Dan-gun Joseon,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Hwan-in, Hwan-woong, and Dan-gun were united as one, that is, Dan-gun.
목차
1. 머리말
2. ‘배달’의 유래
3. ‘배달’이 등장하는 문헌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배달(倍達) 의 뜻과 유래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세종 6진의 위치 비정 비판
- 언론사 기자들의 식민사관 추종과 전파 양상
- 대일항쟁군의 전통의학 이용에 관한 고찰
- 『書經』 「虞書·舜典」 동후(東后)의 본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루마니아 과거청산에 관한 연구
- 『사기』 「조선열전」에 나타난 패수 위치 고찰
- 일송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독립투쟁
- 한국어 학습용 한자성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 사주 오행 중 金일간의 강약과 질병의 연관성에 대한 명리학적 고찰
-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기생의 재조직화와 사회적 활동
- 신시론의 실존주의와 김수영
- 남한 강단사학계 가야사 연구 비판
- 통일 신라의 강역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