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주 오행 중 金일간의 강약과 질병의 연관성에 대한 명리학적 고찰
이용수 10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Metal(金) Ilgan(日干) and Disease from the Viewpoint of Myeongli Science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이영숙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4호, 425~45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주 명조의 오행 중에 金이 태과(太過)와 불급(不及)인 경우에 인체의 불균형과 부조화가 생기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행 중에 金의 태과・불급 된 사주 명조를 『황제내경(皇 帝內徑)』,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명리학 원전(原典)의 金오행의 태과와 불급 그리고 중화에 대한 원론적 내용을 고찰한 후, 金일간이 태과 할 때 설기하는 水木金이 들어올 때와 金일간이 불급할 때 도와주는 火土운이 올 때 그리고 金일간이 중화될 때 운의 상황에 따라서 인체의 질병이 발생하고 유지되는 현상을 ‘사례분석(case analysis)’의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金이 태과 된 경우와 불급된 경우에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과 중화되었을 때 건강한 삶을 살아간다는 사실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金 오행만으로 한계성이 있으므로 추후 다른 오행의 연구가 요망된다.
영문 초록
In case of Excessiveness (太過) of Metal (金) and Insufficiency (不及) of Metal (金) in five elements in Sajumyeongjo, they create the imbal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Sajumyeongjo that Metal (金) of five elements became excessive and insufficient b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contents of excessiveness, insufficiency, and neutralization of Metal (金) in the five elements in 『the Inner Canon of the Yellow Emperor (皇帝內徑)』, 『Dongui Bogam (東醫寶鑑)』, and the original text (原典) of Myeongli Science and analyze the phenomena that diseases break out and are kept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luck when Water, Wood, and Metal (水木金) which leak when Metal (金) Ilgan is excessive come in, when luck of Fire and Soil (火土) which help when Metal (金) Ilgan is insufficient comes in, and when Metal (金) Ilgan is neutralized comprehensively with a ‘case analysis.’
As a result, the facts that diseases break out when metal (金) became excessive and insufficient and people lead a healthy life when metal (金) is neutralized were examined through the case study. In the future, studies on other five elements are required because Metal (金) in the five elements alone has limitations.
목차
1. 머리말
2. 오행에서 金기운의 태과와 불급
3. 金기운의 태과·불급으로 인한 성정과 건강
4. 金기운의 태과·불급 사례분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배달(倍達) 의 뜻과 유래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세종 6진의 위치 비정 비판
- 언론사 기자들의 식민사관 추종과 전파 양상
- 대일항쟁군의 전통의학 이용에 관한 고찰
- 『書經』 「虞書·舜典」 동후(東后)의 본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루마니아 과거청산에 관한 연구
- 『사기』 「조선열전」에 나타난 패수 위치 고찰
- 일송 김동삼의 역사인식과 독립투쟁
- 한국어 학습용 한자성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 사주 오행 중 金일간의 강약과 질병의 연관성에 대한 명리학적 고찰
-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기생의 재조직화와 사회적 활동
- 신시론의 실존주의와 김수영
- 남한 강단사학계 가야사 연구 비판
- 통일 신라의 강역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