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석규 비평에 나타난 애도 비평의 (불)가능성과 1930년대 시 담론의 흔적

이용수 43

영문명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Criticism and Traces of Poetry Discourse in the 1930s in Ko Seok-gyu's Criticism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강민호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5輯, 133~16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후 비평가이자 시인인 고석규의 초기 비평에서는 '여백'이나 '부재' 등 부정성을 띤 표현이 자주 출현한다. 이러한 표현은 전쟁(죽음)에 대한 공포와 관련하여 설명해 온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석규가 이들 개념을 의미화하고 1930년대 시 담론을 환기하는 글쓰기 방식을 고려해본다면, 고석규 초기 비평은 전후 트라우마에 대한 응전 혹은 극복의 서사가 아니라 오히려 망각된 전쟁 이전의 시대를 향한 애도의 양식을 취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고석규는 대상의 '상실'을 애도한다기보다 기록과 아카이브의 바깥에 놓여서 애도가 불가능한 대상의 '망각'을 애도한다. 이는 데리다의 애도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애도의 실패 혹은 애도의 불가능성을 통해 타자와 대화적 관계를 구축하는 역설적 애도에 해당한다. 고석규는 전쟁 이전과 이후를 단절적으로 인식하지 않으면서 애도 불가능성의 시대인 1930년대의 시 담론을 대화적 관계 속으로 끌어들인다. 특히 「현대시의 심연」이란 글은 1930년대를 대표하는 비평가인 박용철의 시론을 인용할 뿐만 아니라 자기만의 방식으로 소화해낸다. 고석규가 릴케에게 보였던 지대한 관심도 역시 릴케의 시론을 계승했던 박용철의 영향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고석규의 '여백' 또한 릴케와 박용철이 중시했던 비가시적인 시적 충동을 번역한 개념어로서, 1930년대의 글쓰기를 전후 상황에서 계승하는 고석규를 엿볼 수 있다. 고석규 비평의 다른 특징으로는 모더니즘을 강력하게 비판한다는 것인데, 이때 고석규는 1950년대 모더니즘을 비판할 때도 그 중심에 김기림을 위치시킨다. 결국 '김기림 비판'으로 수렴될 만한 그의 비판적 글쓰기 역시 1930년대 시 담론을 재현하는 행위인데, 그의 논리가 박용철·김기림·임화 사이에 전개되었던 기교주의 논쟁에서 박용철이 취했던 입장과 거의 일치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시적 변용을 '기교'가 아니라 시인의 존재론적인 '변신'으로 이해하는 고석규의 문장들은 기교주의 논쟁에서 '기교'라는 개념 대신 '기술'을 쓸 것을 제안했던 박용철의 문장을 변주한다. 이렇듯 고석규의 초기 비평은 1950년대라는 새로운 문제적 현실에서 전후라는 새로운 사회 질서를 성급하게 수립하려 했던 동시대 비평과는 달리, 박용철 혹은 김기림 등 1930년대 작가들과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망각된 시대의 담론을 복기 및 보완한다는 점에서 현대문학 비평의 주목할 만한 선례를 남겼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Negative expressions such as ‘blank' or ‘absence' often appear in the early criticisms of Ko Seok-gyu, post-war critic and poet. It is common that negative expressions have been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fear of war(death). However, considering Ko Seok-gyu’s writing method that signifies these concepts and evokes the discourse of poetry in the 1930s, Ko Seok-gyu's early criticism is not a narrative of response to or overcoming post-war trauma, but rather a form of mourning for the forgotten pre-war era. Rather than mourning the ‘loss' of an object, Ko Seok-gyu mourns the ‘oblivion' of an object that cannot be mourned because it is placed outside of records and archives. This is similar to Derrida's concept of mourning, and corresponds to a paradoxical mourning that builds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the failure or impossibility of mourning. Ko Seok-gyu brings the discourse of poetry in the 1930s, the era of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into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without recogniz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war as disconnected. In particular, the article 「The Abyss of Modern Poetry」 not only quotes the poetic theory of Park Yong-cheol, a representative critic of the 1930s, but digests it in his own way. Ko Seok-gyu's great interest in Rilke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influence of Park Yong-cheol, who succeeded Rilke's poetry theory. Ko Seok-gyu's ‘blank' is also a conceptual word that translates the invisible poetic impulse that Rilke and Park Yong-cheol valued, and we can get a glimpse of Ko Seok-gyu, who inherited the writing of the 1930s in the context of the postwar situa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Ko Seok-gyu's criticism is that he strongly criticizes modernism. At this time, when Ko Seok-gyu criticizes modernism in the 1950s, he places Kim Gi-rim at the center. In the end, his critical writing, which can be converged to ‘Kim Gi-rim criticism', is also an act of reproducing the poetic discourse of the 1930s, because his logic is almost identical to the position taken by Park Yong-cheol in the debate on techniqueism developed between Park Yong-cheol, Kim Gi-rim and Im Hwa. For example, Ko Seok-gyu's sentences, which understand poetic transformation as the poet's ontological ‘transformation' rather than ‘technique', are variations on Park Yong-cheol's sentences, which suggested using 'skill' instead of the concept of ‘technique' in the debate on techniqueism. In this way, Ko Seok-gyu's early criticism, unlike contemporary criticism that tried to hastily establish a new post-war social order in the new problematic reality of the 1950s, attempted dialogue with writers of the 1930s such as Park Yong-cheol or Kim Gi-rim, thereby reviving the discourse of the forgotten era. It can be seen that it has left a noteworthy precedent in modern literary criticism.

목차

1. 서론: ‘전후’라는 상황과 고석규 비평의 위치
2. 상실이 아닌 망각을 애도하기
3. 이어 쓰기―‘무명화’와 ‘여백’의 접목
4. 다시 쓰기―모더니즘 비판과 기교주의 논쟁의 재현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민호. (2023).고석규 비평에 나타난 애도 비평의 (불)가능성과 1930년대 시 담론의 흔적. 어문연구, (), 133-160

MLA

강민호. "고석규 비평에 나타난 애도 비평의 (불)가능성과 1930년대 시 담론의 흔적." 어문연구, (2023): 13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